정민석의 "과학만평 - 꽉 선생의 일기"

만화 그리기를 즐기는 해부학자 정민석 교수가 과학의 농담과 정담, 진담을 담은 과학만평을 그려 연재한다.

꽉 선생이 뽑은, '꽉 선생' 좋아요 5편

00kwak.jpg

 꽉 선생이 뽑은 꽉 선생의 일기 좋아요 다섯 편 



제까지 연재한 ‘꽉 선생의 일기’ 중에서 제 마음에 드는 5편을 골랐습니다.



K61.jpg

트위터에서 ‘꽉 선생의 일기’를 유명하게 만들어 준 만화입니다. 이것과 비슷한 흙수저 빙고 판이 나중에 나왔는데, 저도 아이디어를 베꼈기 때문에 저작권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 * *




K121.jpg

낭만이 없는 자연과학 연구를 보여 주는 만화입니다. 낭만이 있는 자연과학 연구를 하고 싶은데, 각박한 현실 때문에 참 어렵습니다.


* * *



K178.jpg

헷갈리지 않게 말하는 것이 과학스럽다고 생각해서 그린 만화입니다. 과학인이 아니라도 과학스럽게 말해야 하며, 그래서 수학을 비롯한 과학을 배우는 것이라고 봅니다.


* * *



K232.jpg

과학인의 야비한 모습을 나타낸 만화입니다. 특히 저는 속물인 과학인입니다. 이런 과학인의 속내를 통해서 과학인과 일반인이 더 가까워지기 바랍니다.


* * *



K311.jpg

논문에 대한 제 생각을 풀이한 만화입니다. 많은 대학원 학생이 논문 쓰는 것을 어려워하는데, 이 만화를 보고 힘내면 좋겠습니다.


* * *


7년 가까운 ‘꽉 선생의 일기’ 연재를 일단 마무리하겠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다음에 또 사이언스온에서 뵙겠습니다.



정민석 아주대 교수(해부학)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만평] ‘꽉 선생의 일기’ 연재를 마무리하며

[사이언스온 초대석] 꽉 선생 7년 연재 마치는 정민석 교수



   [사이언스온의 길목]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scienceon

트위터   https://twitter.com/SciON_hani

한겨레 스페셜   http://special.hani.co.kr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정민석 아주대학교 교수, 의과대학 해부학
안철수씨처럼 의과대학을 졸업한 다음에 의사를 포기하고 과학인이 된 해부학 선생. 과학인은 의사보다 돈을 덜 벌지만, 훨씬 즐겁기 때문이다. 영상해부학의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쓰는 것도 즐기고, 과학인의 속사정을 만화로 그리는 것도 즐긴다.
이메일 : dissect@ajou.ac.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꽉 선생의 일기 연재를 마무리하면서  -만평꽉 선생의 일기 연재를 마무리하면서 -만평

    과학만평 - 꽉 선생의 일기정민석 | 2016. 12. 30

    꽉 선생의 일기 (358,   마지막회   ) ■ ‘꽉 선생의 일기’가 영화라고 치면, 나는 주연 배우이다. 소재를 내 준 분들과 덧그림을 그려 준 분들은 조연 배우이고, 독자들은 관객이다. 그리고 한겨레신문 사이언스온은 감...

  • 총장, 대가가 되려면  -만평총장, 대가가 되려면 -만평

    과학만평 - 꽉 선생의 일기정민석 | 2016. 12. 24

    [알립니다]  2010년 2월 9일 문을 연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에 그동안 매주 연재해온 네칸 만평 ‘꽉 선생의 일기’가 다음주 358회를 마지막으로 연재를 마감합니다.  현직 해부학 교수이자 만평 작가인 정 교수는 지난 2010년 2월 ...

  • 서로 딱해 보임  -만평서로 딱해 보임 -만평

    과학만평 - 꽉 선생의 일기정민석 | 2016. 12. 18

    꽉 선생의 일기 (356) ■ 만화의 둘째 칸처럼 유럽의 지도에서 동아시아는 동쪽의 끝에 있다. 그래서 유럽 사람이 극동(Far East)이라고 부른 것이다. 아랍을 비롯한 서아시아는 동쪽(유라시아)의 중간에 있다. 그래서 중동(Middle East)이라고 부른...

  • 1,000배수의 단위  -만평1,000배수의 단위 -만평

    과학만평 - 꽉 선생의 일기정민석 | 2016. 12. 10

    꽉 선생의 일기 (355) ■ 1,000배수의 단위를 쓰는 것이 미터법을 제대로 지키는 것이다. 미터법도 법이니까 제대로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인은 미터법뿐 아니라 맞춤법도 지킬 때가 많다. 그러다 보면 과학인이 부전공으로 법을 공부한다...

  • 숫자와 단위의 띄어쓰기  -만평숫자와 단위의 띄어쓰기 -만평

    과학만평 - 꽉 선생의 일기정민석 | 2016. 12. 04

    꽉 선생의 일기 (354) ■ 한국에서 100 m를 붙여서 100m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100미터, 백m처럼 한글이 들어간 것은 몰라도, 100 m처럼 아라비아 숫자, 영어만 들어간 것은 서양 규칙을 따르는 것이 좋다.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는 서...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