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최종 정책제안집
[2]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191091 |
1 |
공지 |
분과별 토론장
|
타운미팅 준비 |
2012-08-16 |
136149 |
1 |
공지 |
알림- 타운미팅 토론방 사용설명서
|
사이언스온 |
2012-07-20 |
139092 |
|
8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참가자 분포
< 총 참가자 수 > 127명 < 누적 참가자 수 > 183명 < 타운미팅별 참가자 수 > 차수 0차 1차 2차 3차 인원수 21 36 52 74 < 참가 횟수 > 횟수 1회 2회 3회 4회 인원수 97 11 12 7 < 직업/소속 분포 > 구분 인원수 원로 2 시민 12 고등학생 3 대학생 33 대학원생 33 ...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6733 |
|
7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현장으로부터의 목소리
네 차례의 타운미팅에 연인원 183명의 과학기술인과 시민들이 모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의견과 대안들이 모아졌습니다. 먼저 문제점들을 모은 다음, 이를 정리/분류하여 10개의 분과가 구성되었고, 분과별로 자원봉사자들에 의...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4474 |
|
6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 진행 방식
>>> 타운미팅의 원리 타운미팅은 미국 동부지역의 주민자치 조직에서 유래한 것으로, 참여한 모든 사람이 동등한 목소리를 낼 수 있고 평등한 일인일표를 행사할 수 있는 회의 시스템입니다. “많은 사람이 모이는데 어떻게 이것이 가능하겠는가?”, “회의가 제대로 진행이나 되겠는가...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3849 |
|
5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이 걸어온 길

2012년 7월7일 대전 월평동 카페 눈오는밤에서 과학기술인과 시민 21명 모여 제0차 타운미팅을 열어 ‘대통령 선거에서 다뤄져야 할 과학기술 정책 이슈’를 토론하다. 2012년 8월11일 서울 한겨레신문사 청암홀에서 과학기술인과 시민 36명이 모여 제1차 타운미팅을 열어 ‘대통령 선...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8757 |
|
4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의 취지와 목표

대선을 앞두고 과학기술에 대한 현장(과학기술인)의 목소리로 한국의 과학기술 관련 정책에 관한 아이디어를 도출함 타운미팅을 통해 도출된 정책을 대선후보에게 제안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것을 요구함 신뢰와 상호 존중에 바탕을 둔 의사소통을 통해 집단의 지혜가 발...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4628 |
|
3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현장 사람들의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을 열며
>>> 현장의 목소리는 왜 중요한가? 지금까지 과학기술 관련 정부의 정책들이 발표될 때마다, 공청회 등의 절차를 밟았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현장에서는 뒤늦게 이런저런 불만과 우려, 때로는 비난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해당...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0247 |
|
2 |
포항공대 BRIC에서 함께 하기로 확정되었습니다.
지난 1차 타운미팅 직후부터 논의가 진행되었던 것인데, 조금 전에 확정이 되어서 이렇게 알려드립니다. 가장 큰 변화는, 온라인 토론은 BRIC에서 곧 공개할 게시판으로 옮겨진다는 점입니다. 자발적인 모임으로 시작된 것이라, 일사분란하지 못하고 이렇게 진화해가는 모습을 보일 수밖...
|
타운미팅 준비 |
2012-08-28 |
43043 |
2 |
1 |
과학기술 정책에도 민주화를
과학기술 정책에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아낼 수는 없는 것일까? 목소리가 큰 소수에 의한 결정이 아니라 과학기술인 다수의 뜻이 수용되는 정책 수립 과정은 불가능한 것일까? 이러한 의문들은 과학기술인이라면 누구나 가져왔을 것입니다. “과기정책 제안 타운미팅”은 이에 대한 ...
|
타운미팅 준비 |
2012-07-23 |
33508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