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최종 정책제안집
[2]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191277 |
1 |
공지 |
분과별 토론장
|
타운미팅 준비 |
2012-08-16 |
136316 |
1 |
공지 |
알림- 타운미팅 토론방 사용설명서
|
사이언스온 |
2012-07-20 |
139240 |
|
34 |
최종 정책제안집 - 5분과: 과학기술 정책구조 개선과 의사결정의 민주화

현장 정책 제안 5 과학기술 정책구조 개선과 의사결정의 민주화
(타운미팅 주제어 목록은 네 차례 타운미팅 참여자들의 의견을 정리한 것입니다.) “개발도상국 시절의 유산인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을 끝내고, 과학기술자들의 자율에 맡기는 방향으로 선회를 시작할 때입니다.”
1. 과...
|
타운미팅 준비 |
2012-11-30 |
41413 |
|
33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현장 사람들의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을 열며
>>> 현장의 목소리는 왜 중요한가? 지금까지 과학기술 관련 정부의 정책들이 발표될 때마다, 공청회 등의 절차를 밟았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현장에서는 뒤늦게 이런저런 불만과 우려, 때로는 비난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해당...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0346 |
|
32 |
완전 비공식 ^^ 과기정책 제안 제1차 타운미팅 결과 보고
[4]
이 토론장 분위기를 어떻게 만들어가는 것이 좋을까요? 강남 스타일로 할 것을 제안합니다.
그건 그렇고, 다들 빨랑 ID부터 만드세요.
분과 팀장으로 옹립되신 분들은 자기 분과의 사람들이 ID를 만들었는지 확인해서 이곳에 보고하세요. ^^
아, 제목에 "보고"라고 했네요. 그럼 ...
|
타운미팅 준비 |
2012-08-13 |
40082 |
3 |
31 |
최종 정책제안집 - 2분과: 사회와 과학기술의 소통

현장 정책 제안 2 사회와 과학기술의 소통
(마인드맵과 타운미팅 주제어 목록은 네 차례 타운미팅 참여자들의 의견을 정리한 것입니다.) “과학과 사회의 소통은 양방향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시민 참여를 넓히고 연구 성과를 사회와 공유하는 제도가 활성화돼야 합니다.”
1. 과학...
|
타운미팅 준비 |
2012-11-29 |
39551 |
|
30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관련 읽을 거리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2009년에 등장하여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원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때 도움이 되는 도구로 나온 것이나, 공공영역의 정책안을 수립할 때도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 과기정책안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도 함께 공부하여 사용해보도록...
|
타운미팅 준비 |
2012-08-13 |
39382 |
|
29 |
1차 미팅에서 정리하지 못한 분과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에 대해서
[6]
안녕하세요. 1차에서 시간에 쫓겨 채 정리를 못하고 온라인 토론으로 남겨둔 일을 해야할 시간이 되었네요. 다들 기억을 못하실테니 첨부해드린 pdf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0차보강2.pdf
1차 현장에서 9개의 분과는 결정을 보았으나 아직 미분류 상태로 있는 11개의 주제가 남아 있습니...
|
타운미팅 준비 |
2012-08-21 |
38745 |
|
28 |
최종 정책제안집 - 7분과: 이공계 연구환경 개선과 직업 안정성 확보

현장 정책 제안 7 이공계 연구환경 개선과 직업안정성 확보 (마인드맵과 타운미팅 주제어 목록은 네 차례 타운미팅 참여자들의 의견을 정리한 것입니다.) “이공계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게 하는 연구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1. 박사학위를 보유한 고급 인...
|
타운미팅 준비 |
2012-12-12 |
38690 |
|
27 |
최종 정책제안집 - 10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

현장 정책 제안 10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 (3차 타운미팅 및 온라인 토론장 의견 정리)
(0차부터 2차까지 타운미팅 의견 정리) “지속가능한 발전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향으로 과학기술 정책도 세워가야 할 것입...
|
타운미팅 준비 |
2012-12-12 |
38323 |
|
26 |
이공계 위기 극복 분과 토론장입니다(업데이트 완료).

[7]
안녕하세요? 너굴입니다. 더 일찍 토론 게시글을 올렸어야 하는데 늦어져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1차 타운미팅 후에 출장도 다녀오고 해서 경황이 없었네요. 저희는 8월 11일 열린 1차 타운미팅에서 제목과 같이 '이공계 위기 극복' 에 대한 주제로 토의를 나눴습니다...
|
너굴 |
2012-08-28 |
37825 |
2 |
25 |
최종 정책제안집 - 6분과: 과학기술자 사회의 소통과 윤리

현장 정책 제안 6 과학기술자 사회의 소통과 윤리
(마인드맵과 타운미팅 주제어 목록은 네 차례 타운미팅 참여자들의 의견을 정리한 것입니다.) “과학기술자 사회 내부에 투명하고 합리적인 소통이 이뤄지고 연구윤리 문화를 뿌리내릴 수 있게 돕는 장기적인 정책이 필요합니다.” ...
|
타운미팅 준비 |
2012-12-11 |
37736 |
|
24 |
분과 운영의 기본적인 사항을 현재 정리하는 중입니다.
[1]
아직 제대로 출발이 되지 않은 점 준비모임을 대표하여 사과드립니다. 주말을 쉬고 어제부터 준비모임의 토론이 재개되어서, 어쩔 수 없이 오늘까지 토론 중입니다.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내용에서 핵심 사항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직 최종 결정은 나지 않았습니다. 준비모임...
|
타운미팅 준비 |
2012-08-14 |
37416 |
|
23 |
회사에서 한번 따라해 본 타운 미팅 방식 - GOOD!~
[7]
저는 1차 타운 미팅에 참여한 후, 그 감동을 잊지 못해서 회사에서도 한번 적용을 해보았습니다. 우리 회사가 가진 경쟁력이 무엇이며, 그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가? 라는 다소 폭넓은 주제의 브레인 스토밍을 하게 되었는데, 타운미팅의 방식을 원용한 것이...
|
jhimm |
2012-09-17 |
37108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