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최종 정책제안집
[2]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191245 |
1 |
공지 |
분과별 토론장
|
타운미팅 준비 |
2012-08-16 |
136298 |
1 |
공지 |
알림- 타운미팅 토론방 사용설명서
|
사이언스온 |
2012-07-20 |
139212 |
|
15 |
7.7. 0차모임에서 나온 이슈 주제어들
지난 7월7일 대전의 한 카페에서 열린 "과학기술인 말하다: 현장의 목소리로 채우는 과기정책 제안 타운미팅"의
0차모임(예비모임)에서 20여 명 참석자들이 제시한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다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과기 정책
이슈들"입니다. 이곳 토론방에서 참조하면 좋을 듯하여 이곳에...
|
오철우 |
2012-07-23 |
36059 |
1 |
14 |
완전 비공식 ^^ 과기정책 제안 제1차 타운미팅 결과 보고
[4]
이 토론장 분위기를 어떻게 만들어가는 것이 좋을까요? 강남 스타일로 할 것을 제안합니다.
그건 그렇고, 다들 빨랑 ID부터 만드세요.
분과 팀장으로 옹립되신 분들은 자기 분과의 사람들이 ID를 만들었는지 확인해서 이곳에 보고하세요. ^^
아, 제목에 "보고"라고 했네요. 그럼 ...
|
타운미팅 준비 |
2012-08-13 |
40078 |
3 |
13 |
밤늦게 이어진 연구생들의 사는 이야기
별명 볼펜입니다.^^ 지난 주말에 처음 뵙는 분들의 많은 얘기를 들었습니다. 타임라인에서만 뵙던 트친들 분들을 뵌 것도 즐거운 경험이었고요 (뒤풀이에서도 열기가 식지 않아, 일요일까지 체력회복에 어려움을 겪었지만요^^) 저의 참가기를 쓰자면, 음...무엇보다도 1차 타운미팅에서는 석...
|
water77 |
2012-08-14 |
32116 |
1 |
12 |
과기정책 1차 타운미팅 참가 후기(사진다수 포함^^)
[3]
안녕하세요. 0차, 1차 모두 참여했고요. 토론장 댓글에 후기 좀 올려달라는 요청을 일찍 확인했으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오늘에야 부랴부랴 글을 남겨 봅니다. 너무 늦은 건가요? 대전팀이 오전 11시까지 행사장에 도착해 주섬주섬 행사장을 정돈한 상황입니다. 테이블 정리중인 행자님...
|
달푼 |
2012-08-21 |
62999 |
2 |
11 |
1차 미팅에서 정리하지 못한 분과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에 대해서
[6]
안녕하세요. 1차에서 시간에 쫓겨 채 정리를 못하고 온라인 토론으로 남겨둔 일을 해야할 시간이 되었네요. 다들 기억을 못하실테니 첨부해드린 pdf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0차보강2.pdf
1차 현장에서 9개의 분과는 결정을 보았으나 아직 미분류 상태로 있는 11개의 주제가 남아 있습니...
|
타운미팅 준비 |
2012-08-21 |
38741 |
|
10 |
포항공대 BRIC에서 함께 하기로 확정되었습니다.
지난 1차 타운미팅 직후부터 논의가 진행되었던 것인데, 조금 전에 확정이 되어서 이렇게 알려드립니다. 가장 큰 변화는, 온라인 토론은 BRIC에서 곧 공개할 게시판으로 옮겨진다는 점입니다. 자발적인 모임으로 시작된 것이라, 일사분란하지 못하고 이렇게 진화해가는 모습을 보일 수밖...
|
타운미팅 준비 |
2012-08-28 |
43108 |
2 |
9 |
이공계 위기 극복 분과 토론장입니다(업데이트 완료).

[7]
안녕하세요? 너굴입니다. 더 일찍 토론 게시글을 올렸어야 하는데 늦어져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1차 타운미팅 후에 출장도 다녀오고 해서 경황이 없었네요. 저희는 8월 11일 열린 1차 타운미팅에서 제목과 같이 '이공계 위기 극복' 에 대한 주제로 토의를 나눴습니다...
|
너굴 |
2012-08-28 |
37818 |
2 |
8 |
2차 타운미팅에서 참여자들에게 물어볼 클리커 질문들
[3]
다른 회의 방식과 비교할 때 타운미팅의 가장 큰 기술적 장점은 "무기명 투표를 회의 도중에 수시로 한다"는 점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누군가 소위 clicker question을 회의 도중에 계속 만들어야만 합니다. America Speaks에서는 이를 위해 두뇌회전이 빠른 사람들로 구...
|
타운미팅 준비 |
2012-09-15 |
43196 |
1 |
7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현장 사람들의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을 열며
>>> 현장의 목소리는 왜 중요한가? 지금까지 과학기술 관련 정부의 정책들이 발표될 때마다, 공청회 등의 절차를 밟았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현장에서는 뒤늦게 이런저런 불만과 우려, 때로는 비난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해당...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0338 |
|
6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의 취지와 목표

대선을 앞두고 과학기술에 대한 현장(과학기술인)의 목소리로 한국의 과학기술 관련 정책에 관한 아이디어를 도출함 타운미팅을 통해 도출된 정책을 대선후보에게 제안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것을 요구함 신뢰와 상호 존중에 바탕을 둔 의사소통을 통해 집단의 지혜가 발...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4702 |
|
5 |
최종 정책제안집 내용 - 과학기술 정책 제안 타운미팅이 걸어온 길

2012년 7월7일 대전 월평동 카페 눈오는밤에서 과학기술인과 시민 21명 모여 제0차 타운미팅을 열어 ‘대통령 선거에서 다뤄져야 할 과학기술 정책 이슈’를 토론하다. 2012년 8월11일 서울 한겨레신문사 청암홀에서 과학기술인과 시민 36명이 모여 제1차 타운미팅을 열어 ‘대통령 선...
|
타운미팅 준비 |
2012-11-17 |
488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