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너굴입니다.
더 일찍 토론 게시글을 올렸어야 하는데 늦어져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1차 타운미팅 후에 출장도 다녀오고 해서 경황이 없었네요.
저희는 8월 11일 열린 1차 타운미팅에서 제목과 같이 '이공계 위기 극복' 에 대한 주제로 토의를 나눴습니다.
우선 그날 토의된 내용들을 이곳에 정리해서, 이 게시글 밑에 댓글을 통해서 더욱 많은 분들과 발전적인 토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기초과학의 위기
- '이공계'의 위기라기보다는 '기초과학'의 위기라는 의견이 다수였습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초과학 분야 수요/공급 정책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는 뜻을 모았습니다. 현재 대학원생의 배출 규모는 모자라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지만, 이들이 졸업 후 갈 수 있는 곳이 많지 않다는 의견입니다.
- 이와 같은 수요/공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초과학분야 박사의 일반 기업체 취업 기회 확대, 기초과학분야 일자리 증가, 고등과학원 과 같은 신규 연구기관 설치 등이 제안되었습니다.
2. 대학원생/박사후연구원의 처우문제
- 이공계 대학원생과 박사후연구원이 연구실에서 겪는 여러가지 부당한 일들에 대한 성토가 이어졌습니다.
- 이러한 문제들을 통틀어 '처우문제'로 부를 경우 마치 정부를 상대로 징징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다른 적당한 대안을 찾지 못했습니다.
- 대학원생을 노동자로 보고, 4대보험/계약서/초과근무수당 등을 받아야한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또한 대학원생의 잡무를 줄이고, 인건비에 대한 현실화/투명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습니다.
- 박사후연구원 지원 대상과 과제 숫자를 늘려서 더 많은 박사후연구원이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3. 여성과학인 육성과 지원 확대
- 현재 여성과학인 육성과 지원에 대한 정부 프로그램이 진행 중입니다. 최근에는 커리어가 끊긴 여성과학자들에게 일자리를 마련해주는 프로그램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일시적이며, 과학인으로서의 커리어를 실제로 이어주기에는 부족함이 있다는 의견들이 많았습니다.
- 또한 육아/출산으로 인해 커리어가 단절되는 문제는 과학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문제라는 데에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 이러한 커리어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뚜렷한 대책은 제시되지 못했습니다.
4. 연구직 인적자원 관리
- 국가 정책을 통해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를 기대했습니다.
-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이 제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공계 조기 퇴직 문제, 안식년 문제, 인력 유출 문제 등이 있었습니다.
- 이에 대한 해결책 중 가장 많은 의견을 모았던 것은 위에서 언급했던 적절한 수급정책 이었습니다.
- 과학기술인들이 연구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여기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주제와 관련된 토의사항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댓글을 달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참고로 1차 타운미팅에서 나왔던 '이공계 위기'관련 안건들을 모두 모아 찍은 사진을 올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