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값 개선하자”…과학자들, 연구가설 검정 ‘문턱값’ 강화 제안 [1]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7.08.16
뉴스 & 해설 통계·심리·경제학 등 72명, 개선제안 논문 펴내 주목과학 재현성 위기 반영 "현행 0.05에서 0.005로 내리자"채택 땐 연구현장에 상당한 변화…한동안 논쟁 이어질듯 최근 정식 출간에 앞서 공개된 한 논문 한 편[1]이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통계학, 심리학, 경제학, 의학...
-
‘가설검정’ P값, 더 이상 전가의 보도 아니다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6.09.08
[7] 영가설 유의성검증 절차의 문제점에 대한 해법들 이번 글에서는 과학자들이 연구가설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자료분석 방식인 ‘영가설 유의성검정’, 또는 ‘P값’의 단점들에 대한 극복 방안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는 지난 글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
-
‘연구 사전등록제’, 재현성 위기의 제도적 해법 [1]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6.07.11
[6]위기 해결을 위한 새로운 시도들 ① 재현성 위기는 과학 내적 요인들뿐 아니라 경제적 유인, 사회적 동기 등 다양한 측면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따라서 해결하기 쉽지 않아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결과, 몇 ...
-
연구부정은 개인의 도덕적 문제 그뿐일까? [1]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6.06.24
[5] 연구부정과 재현성 문제가 무관하지 않은 이유사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인 ‘연구 부정’이 재현성 위기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의 소지가 있다. 어쨌든 연구 부정은 과학적 문제가 아닌 도덕적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작된 연구는 어쨌...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얼마나 유의미할까 [1]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6.05.20
[4] 과학 발전 저해하는 ‘영가설 유의성검정’ 방식 2014년 말 화제가 되었던 이른바 ‘땅콩 회항’ 사건을 아직 기억하는 이들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이었던 조현아씨는 자사 비행기의 기내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해 비행기를 임의로 회항시키고, 사무장과 승무원들에게 굴욕적 사과를...
-
‘양성결과’ 발표에만 주목, 서랍속에 묻히는 ‘음성결과’ [2]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6.05.04
[3] ‘출간 편향’ 이란? 이번 글에서는 재현성 위기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는 ‘출간 편향’(publication bias)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이는 아직 대중에는 생소한 개념이지만, 재현성 위기의 다른 원인들과도 관련이 있는 중요한 문제다.출간 편향은 한 마디로 “학술지들이 ‘양성 결과’(positive ...
-
재현성 위기는 과학불신과 연구낭비를 초래한다 [1]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6.04.27
[2] 재현성 위기의 실태와 그 결과 ‘재현성 위기’(reproducibility crisis)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초였다. 이런 데에는 심리학 분야에서 있었던 몇몇 사건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이를 테면 지난 2011년, 해당 분야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성격 및 사회심리학회지(Jo...
-
오랜 정설 실험결과에도 잇단 의문제기… 재현성 위기 [1]
‘실험 재현성의 위기’ 바로보기2016.04.06
[1] 연재를 시작하며우리는 흔히 <사이언스>, <네이처>, <셀> 같은 권위 있는 과학학술지에 실린 과학 연구들이라면 분명 믿을 만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런 유명 학술지들에 연구논문이 실리기 위해서는 혹독한 동료평가(peer review)를 거쳐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