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와 우리의 무지를 깬 트랜스젠더 건강연구 10장면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7.10.13
[12] 사명감, 좌절, 깨달음…2013-2017년을 돌아보며 “당신이 상상할 수 없다고 세상에 없는 것으로 만들지는 말아줘.”- <계속해보겠습니다> (황정은) 중에서#1.우리의 무지를 인정하기 내게 트랜스젠더(transgender)라는 단어는 낯설었다. 텔레비전에서 본 한 연예인을 통해 막연하게 트랜스젠더는 자신을 ...
-
‘당신은 거미를 본 적이 있나요?’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7.05.15
[11] ‘원인들의 원인’을 추적하는 사회역학의 역사 불과 150년 전만 하더라도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인간의 몸과 질병에 대한 지식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오랜 시간 수많은 목숨을 빼앗아갔던 감염병의 원인이 세균이라는 점을 알게 된 것이 140년 전입니다. 1877년 로베르트 코흐(Robert K...
-
근대 해부학, 가난한 주검 위에 꽃피우다 [3]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7.03.30
[10] 가난, 몸, 그리고 해부학의 역사 의과대학에서 가장 먼저 배웠던 과목은 해부학입니다. 2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지만 저는 해부학 실습실에 처음 들어갔던 날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내 앞에 누군가의 몸이 놓여 있고, 내가 메스로 그 사람의 피부를 가르고 근육과 뼈와 신경과 혈관을 구분...
-
우리는 연결될수록 오래 사는가?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6.10.27
[9]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 연구의 역사과학에서 하나의 가설이 어떻게 등장하고, 과학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시민권’을 얻고, 또한 그 내용이 어떻게 대중적 이해와 지지를 얻는지는 항상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물론 가설에 따라서 어떤 것은 첫 번째 단계에서 멈추기도 하고, 어떤 것은 두 번째에서...
-
치료법과 치료효과는 어떻게 탄생하며 보증되는가?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6.10.13
[8] 치료 효과와 그 검증 우리는 흔히 동양과 서양의 의학이 오래전부터 달랐던 것처럼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근대 해부학과 생리학이 탄생하기 전까지, 이들이 인간 몸을 바라보는 관점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했습니다. <황제내경>에서 음양의 조화가 깨질 때 인간 몸에 병이 생긴다고 생각했던...
-
말하지 못한 내 상처는 어디에 있을까 [1]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6.02.07
[7] 차별경험: ‘같은 응답, 다른 의미’를 아십니까인간은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는 학교에서 직장에서 가정에서 맺는 여러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그 관계들은 상처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사회적 약자라는 이유로 경험하는 차별과 폭력, 이러한 사회적 폭력은 인간의 몸에 생채기를 남긴다. 그리...
-
모두 총기를 소지하면, 안전해질 수 있을까 [4]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5.10.12
[6] 근원처방 못하고 되풀이되는 사회적 위험들 미국에서 공부하던 시절, 한국보다 넉넉한 그 나라의 많은 것이 신기했습니다. 세계적인 석학에게 직접 배울 기회가 있다는 것, 그리고 대학 시스템이 학생 교육을 행정의 중심에 놓아 합리적이라는 점도 많이 부러웠습니다. 그러나 ‘이것만큼은’ 미...
-
PTSD, ‘설명없는 치료’의 딜레마에 빠지진 않았나요?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5.09.03
[5] 사회적 고통과 개인적 치유: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최근 신문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라는 질병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가깝게는 세월호 유가족이나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화재 진압 과정에서 동료 사망을 목격한 소방공무원이 ...
-
누가 폭염으로 인해 숨지는가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5.08.17
[4] 1995년 사카고 폭염재난의 교훈때는 1995년 7월입니다. 마가렛 오티즈(Margaret Ortiz)는 미국 시카고에서 작은 유아원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무더위가 계속되던 날, 마가렛은 아이들을 차에 태우고 에어컨이 나오는 시원한 극장으로 영화를 보러 갔습니다. 영화가 끝난 뒤, 유아원 건물로 돌아온 마...
-
동성결혼 불인정은 성소수자 건강에 어떤 영향 끼치나 [1]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2015.07.13
[3] 미국 동성결혼 합헌 판결 계기로 본, 사회제도적 차별과 건강간혹 이런 질문을 던져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인 사건들은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을까’라고요. 예를 들어, 노예해방 이전과 이후에 흑인의 삶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물론 ‘해방’이 선언된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삶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