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에서 가장 값지고 아름다운 자연의 책들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5.06.10
[15] 자연사 연구의 길라잡이 자연도감자연사 이야기 시즌Ⅰ을 마감합니다. …[그동안의 연재물 전체 보기] 1878년 스페인의 아마추어 고고학자인 사투올라(Marcelino Sanz de Sautuola)는 8살 난 딸에 이끌려 벽화가 그려진 동굴을 찾게 된다. 구석기시대의 것이라고는 도무지 믿겨지지 않을 만큼 정교한...
-
생전보다 더 기구한 고생물 화석의 사후세계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5.05.07
[14] 지질학이 빚은 기적 ‘화석’ 그리고 화석에 투영된 자본주의 먼 옛날, 나무에서 나온 진액이 굳어서 형성된 호박(amber) 속에서는 드물게 함께 보존된 고대 곤충이 발견되곤 한다. 다들 알다시피, 호박 속의 곤충 화석은 영화 <쥬라기공원(Jurassic Park)>에서 중요한 모티브가 되어 더 널리 알...
-
미스김라일락과 나고야의정서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5.04.06
[13] 세계는 지금 생물자원 전쟁중꽃 피는 춘삼월이라 하였던가? 봄이 찾아오면서 세상은 점차 꽃으로 물들어간다. 하지만 지난해 봄에 눈 앞에서 벌어진 참사 때문인지, 올해는 그 꽃들이 아름답게 느껴지기보다 차라리 처량하게 보인다. 이런 애처로운 마음을 잘 대변해주는 꽃이 있다. 바로 ‘미스김...
-
영웅개와 복제개의 탄생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5.03.09
[12] 인간의 ‘베스트 프랜드’, 개미국 케널클럽(American Kennel Club)은 해마다 이맘때면 ‘최고 인기 개 품종’을 뽑는다. 올해의 인기스타는 래브라도 리트리버(Labrador retriever)가 차지했다.[1] 이 개가 무려 24년 동안 연속으로 1등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니 그 인기가 얼마나 깊은지를 실감할...
-
모험인가? 욕심인가? 보물을 찾아나선 사람들 [5]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5.02.06
[11] 고고학, 인간 욕망을 발굴하다초등학교 소풍에서 빠질 수 없는 즐거움 중 하나가 ‘보물 찾기’였다. 선생님들이 ‘보물’ 이름을 적은 조그만 종이를 어딘가에 숨겨 놓으면, 아이들은 나무 위도 살피고 돌도 들춰보며 그 종이를 찾아 다녔다. 생각해보면 보물이라고 해봐야 고작 학용품 정도일 텐...
-
게놈 분석으로 다시 그리는 생물진화 ‘생명의 나무’ [1]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5.01.16
[10] 자연사 연구도 이제 빅데이터 시대지난 12월 한 해를 마무리할 즈음, 자연사 연구의 새 지평을 열 만한 논문이 출판되었다.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에도 간략하게 소개된 ‘새의 진화계통’에 관한 논문이다.[1] 저명 학술지 <사이언스>는 12월 12일 출판된 특별판에다 유전체(게...
-
큰빗이끼벌레, 4대강이 보내는 경고장? [1]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4.11.28
[9] 흐르지 않는 그 강에는 그 벌레가 산다 지난 여름을 뜨겁게 달군 벌레가 있다. 이름도 생소했던 바로 ‘큰빗이끼벌레’다. 6월부터 큰빗이끼벌레가 4대강 곳곳에서 발견되더니, 급기야 ‘4대강 사업’ 논란의 중심에 섰다. 큰빗이끼벌레와 관련한 우려는 늦가을인 11월이 되도록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
"고통스런 질병 ‘치쿤군야’를 경계하라"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4.10.13
[8] 질병 매개 곤충의 대명사, 모기 언젠가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류에게 가장 위험한 동물을 설문 조사한 적이 있다. 설문에서 호랑이나 상어 같은 육식 동물이 대답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작은 고추가 맵다’더니, 정작 사람의 목숨을 가장 많이 앗아가는 동물은 조그만 모기들이다. ...
-
영화 ‘죠스’가 현실로? 해안에 출몰하는 상어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4.09.09
[7] 인류와 상어의 공존은 가능한가?무더운 여름에 미국 사람들은 상어에 열광한다. 해마다 7월이나 8월에 열리는 ‘상어 주간’, 즉 ‘샤크 위크(Shark Week)’ 때문이다. 1987년 7월 미국의 캐이블방송 <디스커버리 채널(Discovery Channel)>에서 시작한 ‘샤크 위크’는 상어와 관련한 티비...
-
“집 나간 꿀벌을 찾습니다” [1]
자연사로 둘러보는 우리 세상2014.07.29
[6] 화분매개 곤충이 사라지고 있다 2007년에 한국에서 <꿀벌대소동(Bee Movie)>이라는 제목으로 상영된 드림윅스의 에니메이션이 있었다. 곤충을 소재로 했다기에 개인적으로 큰 기대를 가진 영화지만, 곤충학적 관점에서 옥의 티가 많은 영화이기도 했다. 꽃가루를 모으는 일벌들은 원래 암펄인데,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