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터리에만 있지 않아요’…정신질환 치료물질 ‘리튬’ [1]
뇌영상과 정신의학2017.07.10
[37] 리튬 환자들과 대화를 나누는 일은 늘 흥미롭다. 특히 조증으로 입원한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할 때에는 감정의 전염성(mood infectivity)으로 인해 나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질 때가 많다. 수련 받던 병아리 의사 시절에 한 환자와 나눴던 대화는 지금도 가끔씩 떠올라 나를 웃음짓게 한다.나: 요...
-
‘꿀벌의 색보정 메커니즘’, 카메라 업그레드 도움 될까
뉴스2017.07.07
3개 홑눈이 주변광의 색변화 감지해 뇌에 정보전달“뇌에서 겹눈의 시각정보와 통합, 주변빛 변화 보정”주변에 빛이 바뀌면 카메라의 영상에 포착되는 피사체의 색감도 바뀌곤 한다. 주변 빛의 색 변화를 카메라의 눈이 제대로 따라잡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우리 눈은 주변 조명의 색이 바뀌어도 ...
-
‘유성(소행성)이 대기권에 진입할 때’ -NASA 시뮬레이션
뉴스2017.07.04
폭 20미터 규모 소행성, 거대 충격파와 열복사 일으키며 부서져“큰 피해는 쓰나미나 지상충돌보다 폭풍, 열, 충격파에서 비롯해” 2013년 2월15일, 러시아 시베리아 첼랴빈스크 지역의 하늘에서 느닷없이 섬광을 뿜으면서 날아든 지구근접천체(NEO) 유성(소행성)으로 인해, 93킬로미터나 떨어진 곳에서도 건물과...
-
멀고도 가까운 장-뇌 사이, 연결축이 있다
뉴스2017.07.03
※ 이 글은 한겨레 7월3치 지면에 실렸습니다. 연구자 두 분의 일문일답을 덧붙여서 웹진용 기사로 사이언스온에도 옮겨 싣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 + 일문일답: 허준렬, 이원재 교수 ‘장-뇌’ 사이를 이어주는 장내 미생물단 걸 먹으면 왜 기분 좋아질까스트레스...
-
“잠들고 깬다는 건 뇌가 겪는 엄청난 변화” -선충 관찰
뉴스2017.06.28
신경세포 302개 모델 동물인 선충 대상 ‘재우기-깨우기’ 실험잠들면 대부분 신경세포 고요모드로…“잠은 기저상태(디폴트)” 잠이 들 때와 깨어날 때, 몸 전체의 신경세포들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살필 수 있다면? 그럴 수 있다면, 잠과 깨어남이라는 것이 신경세포 수준에선 대체 어떤 일인지 조금은 더 ...
-
“내 탓 아닌 뇌 탓” 주장의 오류
뇌과학/인공지능과 우리2017.06.26
[14] 뇌가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생겨난 특징들 ① ‘뇌는 네트워크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너무 많이 들어서 식상한 말인데도 막상 이 말의 의미는 분명하지 않다. 뇌가 네트워크이면 어떤 특징들을 갖기에, 네트워크 네트워크 하는 걸까? 뇌가 네트워크임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무슨 문제라도 생기나...
-
‘장과 뇌의 직통 핫라인’ 분자메커니즘 연구
뉴스2017.06.23
화학센서 구실하며 세로토닌 분비하는 EC세포신경세포와 시냅스 이뤄 ‘장내 정보’ 뇌에 전달 ‘멀리 떨어진 장과 뇌 사이엔 정보를 전달하는 직통 핫라인이 있다.’그 핫라인의 시작점이 되는 독특한 장내 세포들의 기능이 이번에 비교적 자세히 규명됐다. 이 세포들은 장내 환경이나 화합물 성분을 탐지...
-
과학기자의 핵심은 과학? 기자? 그들은 어떤 고민 할까?
과학과 우리, 과학소통의 길을 찾아서2017.06.22
[2] 새로운 생각의 실마리 던져준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WCSJ)’ ◆지난번 연재 글에서는 나의 진로 고민과 방황의 흔적을 적나라하게 서술했다. 조금 부끄럽기도 하고, 과연 다른 사람들이 이런 내용에 관심을 둘까 하는 걱정도 들었다. 그런데 글이 게재된 뒤에 ‘이거 완전 내 얘기다, 공감된다’는...
-
“땅속 마그마는 거의 고체 상태, 분출 전에야 녹는다” [1]
뉴스2017.06.21
마그마 속에 있다가 분출된 광물 지르콘의 '열 이력' 분석“대부분 시간 거의 고체 상태, 분출전에 녹은 상태로 변화” 다이어몬드처럼 작고 단단한 광물 지르콘(zircon)은 쉽게 변성되거나 파괴되지 않아 때로는 멀고먼 초기 지구의 환경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단서로도 쓰인다. 뜨거운 마그마 속...
-
욕조 배수 소용돌이 이용한, 블랙홀 물리현상 모사
뉴스2017.06.20
물결 흐르는 수로 한복판에 배수구멍 만들어 관측실험 회전체 지나는 물결, 에너지 더 얻는 초방사 현상 관찰 ‘이 모든 게 하찮은 데에서 시작했죠.’욕조 배수구로 물이 빠질 때에 생기는 소용돌이에 착안해, 회전체인 블랙홀의 사건지평선 접경에서 일어난다고 알려진 이론적인 물리 현상을 욕조 배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