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이 경제발전 도구일 뿐?’ 헌법 조문 개정 목소리‘과학기술이 경제발전 도구일 뿐?’ 헌법 조문 개정 목소리

    뉴스오철우2017.10.26

    브릭(BRIC) 설문에 2280명 응답…“조문 개정 필요” 의견 많아ESC 단체, 국회 개헌특위 자문위에 관련 조문 개정 의견 전달 대한민국 헌법에는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기조를 보여주는 관련 조문이 담겨 있다. ‘경제’를 다루는 제9장의 제127조에 있는 과학기술 관련 조문은 다음과 같다.① 국가는 과학...

  • “입속 미생물이 장내 염증질환 일으킬수도”“입속 미생물이 장내 염증질환 일으킬수도”

    뉴스오철우2017.10.25

    장내 미생물군 균형 깨진 틈타, 장내에 머물며 증식면역반응 유발 염증 초래..항생제 강한 내성도 지녀장질환에 민감한 사람이라면, 장 관리와 더불어 양치질에도 좀 더 신경쓰는 게 좋을 듯하다. 입속에 사는 박테리아가 장질환을 일으키는 데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됐다.일본...

  • 뇌는 몸의 주인일까?뇌는 몸의 주인일까?

    뇌과학/인공지능과 우리송민령2017.10.20

    [17] 몸이 뇌에 끼치는 영향 뇌는 몸의 주인일까? 삶에서 마음은 중요한 부분이고, 뇌가 마음의 작용에서 특별히 중요한 기관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뇌는 에너지 대사를 전적으로 몸에 의존하고 있으며 몸이 전해주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와 몸 상태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먹이, 안전, ...

  • “모든 사람은 거짓말을 한다”? : 의학과 서사 (1)“모든 사람은 거짓말을 한다”? : 의학과 서사 (1)

    시각김준혁2017.10.17

      시 각   | 의학과 서사 ① |2013년 방영되어 관심을 모았던 드라마 ‘굿닥터’가 최근 미국에서 리메이크 되어 인기리에 방영 중이라는 기분 좋은 소식을 들었다.[1]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중 하나인 서번트 신드롬을 앓는 주인공이 의...

  • 나와 우리의 무지를 깬 트랜스젠더 건강연구 10장면나와 우리의 무지를 깬 트랜스젠더 건강연구 10장면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김승섭2017.10.13

    [12] 사명감, 좌절, 깨달음…2013-2017년을 돌아보며 “당신이 상상할 수 없다고 세상에 없는 것으로 만들지는 말아줘.”- <계속해보겠습니다> (황정은) 중에서#1.우리의 무지를 인정하기 내게 트랜스젠더(transgender)라는 단어는 낯설었다. 텔레비전에서 본 한 연예인을 통해 막연하게 트랜스젠더는 자신을 ...

  • 항노화의 도우미 물질들...저칼로리 식이법의 가능성항노화의 도우미 물질들...저칼로리 식이법의 가능성

    신약 연구 현장에서 본, 역동하는 신약 트렌드윤태진2017.10.11

    [5] 노화 관련 약물과 식이요법, 그리고 인공지능 신약연구 이번 글은 “노화” 연재의 마지막 글로서 노화와 관련된 약물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신약 연구, 그리고 저칼로리 식이요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노화를 늦추고 젊음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물질이 여럿 있습니다. 때로는 연구결과에서 ...

  • 생체시계: “낮과 밤 따라 몸은 하루주기로 돌아간다”생체시계: “낮과 밤 따라 몸은 하루주기로 돌아간다”

    뉴스오철우2017.10.10

    그림으로 보는 2017 노벨 생리의학상2017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수상자로 선정된 제프리 홀(Jeffrey C. Hall) 미국 메인대학 교수, 마이클 로스배시(Micheal Rosbash) 브랜다이스대학 교수, 마이클 영(Michael W. Young) 록펠러대학 교수는 모델동물인 초파리를 통해 낮과 밤의 24시간 주기로 나타나는 일주기...

  • “눈앞의 장면, 시선이 향한 곳은…” -시각주의력 실험“눈앞의 장면, 시선이 향한 곳은…” -시각주의력 실험

    뉴스오철우2017.09.29

    시각주의력, 장면 속 어느 지점으로 이끌릴까눈동자 추적 실험 “‘의미’지점에 주의력 쏠려”“밝고 대비 효과 지점 집중” 기존학설과 달라 시야에 들어와 처음 마주한 장면. 우리의 시선은 어디로 향할까? 시각의 주의력에 관한 최근에 발표된 연구결과들은 시선의 주의력이 종종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 “염기 하나 바꾸는 유전자가위, 안전·효율성 높이기 지속과제”“염기 하나 바꾸는 유전자가위, 안전·효율성 높이기 지속과제”

    뉴스오철우2017.09.28

    일문일답- 염기편집기법 개발한 데이비드 리우 교수기초과학연구원-네이처, ‘유전체교정 콘퍼런스’개최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새로운 기법을 써서 디엔에이(DNA) 염기 하나만을 표적으로 삼아 바꾸는 염기편집(base editing) 기법의 연구개발자인 데이비드 리우(David Liu) 미국 하버드대학 교수는 “...

  • 스크린 위의 재난: 가상 재난으로 진짜 재난 얼마나 대비할까?스크린 위의 재난: 가상 재난으로 진짜 재난 얼마나 대비할까?

    여덟 갈래 정책 산책김성은2017.09.27

    [5] 가상현실 재난 대응훈련스크린 위의 재난 대응 훈련을 그만두자는 주장이 아니다. 다만 그 어떤 가상 재난도 실제 재난과 완벽히 같을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을 뿐이다. 각 가상 재난이 보여주는 것과 보여주지 않는 것을 제대로 알고서 우리에게 스크린이 필요한지, 실화재 훈련장이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