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

    뉴스사이언스온2017.12.11

    미래/과학/기술/환경 뉴스와 비평, 연재물 서비스사이언스온 옛 글들은 지금처럼 접근 가능합니다 독자님들께안녕하세요. 그동안 작은 도전이었던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의 필자들을 격려해주시고 또 웹진을 사랑해주신 모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아쉬운 말씀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한겨레 과학웹...

  • 뇌과학, 인공지능과 우리뇌과학, 인공지능과 우리 [2]

    뇌과학/인공지능과 우리송민령2017.11.24

    [18] 연재를 마치며: 뇌과학은 어떤 학문인가? 과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과학과 인간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이뤄지려면 시민과 소통하는 과학, 과학과 소통하는 시민이 필요하다. 그리고 뇌과학, 인공지능, 뇌과학이 현실과 부딪히며 생겨난 의문들, 윤리적 쟁점들을 하나씩 다져온 이 연재가, 과학...

  • ‘내 연구를 소개합니다’, 연구자 위한 과학소통‘내 연구를 소개합니다’, 연구자 위한 과학소통

    과학과 우리, 과학소통의 길을 찾아서강지우2017.11.23

    [4] ‘내연소’ 기획과 준비, 그리고 새로운 도전 이번 글에서는 필자가 직접 기획해 포스텍 개교 이래 처음으로 개최한 ‘내 연구를 소개합니다(이하 내연소)’의 기획의도와 준비과정을 공유하고자 한다. 지난 연재에서 소개했던 세계과학기자대회나 과학창의연례컨퍼런스에 참가하기 전, 그러니까 ‘과학소통...

  • '잘해야 해!' 질식할듯한 긴장이 만든 마음의 괴물'잘해야 해!' 질식할듯한 긴장이 만든 마음의 괴물

    뇌영상과 정신의학최강2017.11.15

    [39] 입스 -① ‘분석에 의한 마비’(paralysis by analysis)야구계에서는 입스의 치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기에 입스의 이응조차 입에 올리려 하지 않고 대신 ‘존재’ 혹은 ‘괴물’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스티브 블래스의 경력을 끝장 낸 괴물의 정체는 내면을 들여다보는 분석 행위가 운동 수행능력...

  • ‘부산행’의 좀비와 감염병 인식: 의학과 서사 (2)‘부산행’의 좀비와 감염병 인식: 의학과 서사 (2)

    시각김준혁2017.11.09

      시 각   | 의학과 서사 ② |☞ 의학과 서사 ① 한 소녀가 다급하게 열차 안으로 뛰어들어왔다. 불행히, 누구도 소녀의 접근을 알아채지 못했다. 신을 찾는 걸까, 용서와 구원을 구하는 말을 계속 중얼거리면서 소녀는 상처 입은 다리를 스타킹으로 묶었다. 서울역에서 부산으로 내려...

  • “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

    뉴스오철우2017.11.07

    특정 언어사용패턴과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발현 사이에 ‘상관성’“무의식적 언어패턴이 의식적 자가보고보다 측정정확도 더 높아” 일상언어 사용의 패턴이 말하는 이 자신도 잘 모르는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개인의 언어사용 특징을 분석하면, 사회·환...

  • 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

    뉴스오철우2017.11.07

    ※ 이 글은 한겨레 11월6치 '미래&과학' 섹션 지면에 실렸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분량을 줄이기 이전 원고를 사이언스온에 올립니다.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꿔치기[미래&과학] 주목받는 ‘염기편집’ 원리와 현수준미 연구진, 새 유전자교정 ...

  • ‘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 [1]

    뉴스오철우2017.11.03

    수학적 모형 분석 논문 ‘눈길’세포간 경쟁과 선택, 노화와 암의 ‘딜레마’ 같은 상호관계 다뤄‘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노화를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노화를 일정 정도 늦출 순 있어도 멈출 순 없다는 얘기는 당연해 보이는데, 이런 노화의 불가피성을 수학적 ...

  • ‘노안 늦추며 젊게’, 스마트한 치료방법 뭐가 있을까?‘노안 늦추며 젊게’, 스마트한 치료방법 뭐가 있을까?

    신약 연구 현장에서 본, 역동하는 신약 트렌드윤태진2017.11.01

    [6] 노안의 원인 가설들, 그리고 개발 중인 신통한 점안액들 개인차는 있지만 45세 전후의 나이에 찾아온다고 알려진 노안은 근거리에 있는 책이나 문서 또는 스마트폰을 보면서 눈이 쉽게 초점을 맞추지 못하는 증상입니다. 이 때문에 미간을 찌푸리거나, 눈을 비비다가, 창밖을 잠시 바라보기도 하다...

  • 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

    뉴스오철우2017.10.26

    시토신-구아닌 쌍을 티민-아데닌 쌍으로 ‘점 수정’ 이어아데닌-티민 쌍을 구아닌-시토닌 쌍으로 수정기법 개발하버드대학 리우 교수와 MIT 펑 장 교수 각각 성과 발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디엔에이(DNA) 두 가닥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DNA나 아르엔에이(RNA)에 있는 염기...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