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fMRI'에 대해 8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뇌영상 분석 기법에 심각한 오류 가능성” 논문 파장
| 2016. 07. 13
뉴스 & 해설 “자주 쓰는 fMRI 분석 소프트웨어에 근본 오류 가능성”“기존 연구 오류 심각” vs “그리 많지 않다” 판단 일러관행처럼 쓰는 분석·통계기법에 대해 비판적 접근 필요 최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
뇌영상 통해 행동 동기 엿볼 수 있다? -연구논문
| 2016. 03. 07
스위스 연구진, <사이언스>에 이타적 행동의 다른 동기 추적 논문“공감 이타성과 보답 이타성의 동기 뇌 영역 간 ‘연결성’ 차이 보여”행동은 같아도 동기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남을 돕는 이타적 행동은 같더라도 그 동기는 남의 아...
-
뇌영상으로 풀이하는 진보와 보수 성향은…
| 2014. 05. 30
[14] 신경정치학과 유권자 마음인간의 별명 중 하나가 호모 폴리티쿠스(Homo Politicus)이다. 좁은 의미에서 정치는 특정 정치인이나 정당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한 활동이지만 사실 우리 삶의 많은 활동이 다 정치에 해당한다. 그래서일까? 많은 이...
-
‘나를 움직이는 남의 아픔’ 공감의 생물학
| 2014. 01. 29
[7] 사이코패스와 공감 신경회로많은 전문가들은 사이코패스 문제를 ‘공감의 결핍’으로 생각한다.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사람은 누구나 타인의 감정이나 고통을 공감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데, 사이코패스로 불리는 사람은 이런 공감 능력이 현저...
-
“피험자가 이상해, 실험 중단해!” 판단은 옳았다
| 2013. 05. 09
김서경의 “D랩의 팀워크, 시스템, 그리고 fMRI 이야기” [2] fMRI 실험은 어떻게 시작되고 끝나나 인지신경과학을 연구하는 우리 랩에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실험은 엑기스 중의 엑기스, 호빵의 앙금, 연꽃 속의 보석 같은 존재다. 일...
-
인종차별의 뿌리와 극복 실마리, 뇌영상에서 찾아보니
| 2013. 04. 26
[2] 인종주의와 극복 노력…마찬가지로 우리가 뇌영상을 통해 사람을 볼 때의 뇌 반응을 이해할 수 있다면 인종주의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리 없는 아우성' 인종차별의 분노 얼마 전 서울 소격동 국제갤러리에서 장...
-
[연재] 증언대에 선 뇌
| 2012. 05. 10
법조계에서 부각되는 신경생물학...'신경법학'의 오늘과 내일 누가 봐도 그것은 치밀하게 계획된 범죄였다. 2005년 10월31일 할로윈데이 밤, 미국 뉴욕에서 소방관 복장을 한 남자가 맨해튼 첼시에 있는 어느 아파트 건물에 들어섰다. 그...
-
[책] 내탓인가, 뇌탓인가?
| 2010. 10. 11
뇌 속의 인간, 인간 속의 뇌홍성욱 장대익 엮음, 신경인문학연구회 옮김 | 바다출판사 신경윤리(neuroethics)는 우리에게 낯익은 생명윤리와는 다른 차원의 물음을 던져준다. 신경과학이 의식, 의사결정, 자유의지, 도덕적 인지 같은 인문사회학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