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endo의편지'에 대해 27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원격의료의 이상과 현실
| 2014. 01. 14
endo의 편지 “…원격의료는 지리적 장애를 극복하는 미래 의료서비스 중 하나로 정착할 것입니다. 따라서 원격의료의 문제는 채택할 것인지 아닌지 결정하는 문제가 아니고 미래 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을 담보하는 바람직한 결과를 만...
-
과학과 민주주의: 증거와 토론에 열린 사회를 위해
| 2013. 10. 11
endo의 편지 정부, 과학, 민주주의"...과학과 증거 기반에 의한 의사결정 그리고 건설적인 토론은 국민의 번영과 건강 및 안전을 증가시키고 민주주의를 강화합니다. 과학과 민주주의는 열린 마음으로 언제든지 새로운 증...
-
GMO 과학논란 그 뒤편의 이해관계 읽기
| 2013. 06. 12
endo의 편지 유전자변형식품 논란의 배경과 과학적 양심을 생각한다 많은 과학 논란의 핵심에 정치적 또는 상업적 이해관계가 있고 또 종종 이를 은폐하는 데에 과학적 논란이 사용되곤 하는데, 유전자 변형 식품을 둘러싼 논...
-
과학이 할 수 없는 일은 줄기세포도 할 수 없다
| 2013. 01. 15
endo의 편지 임상단계에서 과학적 진실성 결여 땐 의료 사기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성공과 몰락으로 줄기세포라는 단어는 한국에서 일반 대중에게도 익숙해져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진실성이 결여된 연구의 대명사로...
-
새로운 독감이 유행할 준비를 갖추고 있는가?
| 2012. 08. 28
endo의 편지미국-유럽에선 요즘, 변종 돼지독감 바이러스 ‘H3N2v’의 유행 잠재력 연구 한창 세계를 긴장시켰던 신종플루(A/H1N1)도 이제는 많이 잊혀진 3년 전의 옛이야기가 된 듯합니다. 그런데 이처럼 거의 잊혀져 가던 신종플루를 2011년 중반...
-
[시각] 시조새 논란에서 무엇을 배우고 해야 할 것인가?
| 2012. 06. 26
endo의 편지 ::: 시조새 화석 중 하나. 출처/Wikimedia Commons 과학자와 학술 단체를 위장한 일부 기독교인들의 청원에 의해서 ‘시조새와 말의 진화’ 부분이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삭제될 움직임이 알려지면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
[시각] 연구부정 느슨한 처리땐 학문 후속세대에 피해
| 2012. 06. 05
endo의 편지 ::: '서울대 연구부정 논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한국에서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연구부정 사건은 한 과학자의 연구부정 행위가 과학계뿐만 아니라 사회전체를 혼란과 충격에 빠뜨린 유래없는 사건이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서...
-
[시각] 한국 광우병조사단의 과학 흉내내기
| 2012. 05. 14
endo의 편지 ::: 파인만이 경계했던 '카고 컬트 사이언스'를 생각하며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검역관들이 미국에서 수입된 냉동 쇠고기를 개봉해 검사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2012년 4월27일 제2차 세계대전 중 남태평양 어느 섬의 주민들은...
-
[시각] 첫단추 잘못 꿴 한국 정부, 자초한 광우병 논란
| 2012. 04. 30
endo의 편지 ::: 미국 소비자연맹보다 못한 한국 정부의 문제의식 이제라도 ‘소비자와 공중보건 관점’으로 접근해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광우병 소가 발견되면서 한국은 또 다시 광우병 논란에 휩싸이고 있습니다. 과거 논란과 다른 점은 미국에서 ...
-
[리뷰] '첨단의술 발전해도 의료 질 저하' 불편한 진실
| 2012. 04. 04
endo의 편지 ::: OECD, 한국 의료서비스 질 평가보고서를 읽고 의료과학기술 못잖게 의료체제 개선 관심 필요 막연히 운명은 신의 손에 달려 있다고 믿던 시절과는 다르게 이제는 사람의 운명이 의료과학기술의 수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