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WHO'에 대해 8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신종 감염질환 이름짓기 신중하게” -WHO ‘명명법’ 권고
| 2015. 05. 12
"지역, 사람, 공동체, 동물, 식품의 이름 피하고 과학적 근거있고 사회적 수용 가능한 이름으로"[짧은뉴스]전에 없던 신종 감염질환을 명명할 때에는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기 위해 지역이나 동물, 식품 이름은 붙이지 말아달라고 세계보건기구(W...
-
WHO ‘암과 불운’ 논문 반박 “환경영향-예방효과 커”
| 2015. 01. 15
“지난 50년간 축적된 국제적 역학조사 결과와 모순되는 결론”“여러 암들 나라별, 시대별로 달라…환경영향 보여주는 근거” 암 위험은 환경이나 유전 요인 탓보다 세포의 무작위 돌연변이라는 불운(“bad luck”) 탓이 더 크다는 통계분석 논문이 발...
-
'에볼라 증상없는 면역력' 기존연구 새롭게 조명
| 2014. 10. 23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에도 증상 없이 면역력 자연획득” 연구 사례들백신·치료제 없는 비상 상황, 면역 갖춘 생존자 혈액 수혈요법도 관심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도 별 증상 없이 면역력을 얻은 사례들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감염병의 치사...
-
[시각] 의료서비스가 기업가치에 놀아나선 안 된다
| 2011. 07. 13
[endo의 편지] (12) 영리병원이 의료 서비스 선진화인가? - 중앙일보의 보도를 읽고 의료체계와 관련한 문제에서 보자면, 미국의 환자들은 대체로 의사들의 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진단과 처방이라고 판단해도 보험회...
-
[시각] '휴대폰 발암' 경고: 불확실성과 사전예방 다루기
| 2011. 06. 16
[endo의 편지] (10) WHO '휴대전화 뇌종양 유발가능' 판정 의미 되짚기 위험사회에서, 불확실성 문제는 어떻게 다뤄지는가? 얼마 전에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지금까지 모인 제한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휴...
-
[연재] 말라리아 '연구 의지'인가, '연구비 의지'인가?
| 2011. 02. 01
말라리아 질병의 정치경제학 ⑤ –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7) 말라리아의 미래, 그리고 백신. 지금까지 "말라리아 질병의 정치경제학"이라는 주제로 이곳에 쓴 몇 편의 글에서, 말라리아가 인간 역사와 과학, 그리고 정치경제의 무대에서 어떻게...
-
[연재] '경제성' 따지는 말라리아 박멸사업의 슬픈 현실
| 2011. 01. 14
말라리아 질병의 정치경제학 ④ -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6) 말라리아의 경제학 며칠 전에는 산 아래 동네에서 살충제 살포 팀에서 일하는 사람이 피부염에 걸려 우리 클리닉을 방문했다. 높은 농도의 살충제와 자주 접하는 살포 팀 직원...
-
[연재] 게이츠재단, 열대질환 연구판도 바꾸다...기여와 한계
| 2010. 09. 10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8) 8. 게이츠 재단 이제 스와질랜드는 봄을 지나 여름으로 접어들고 있다. 아직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만큼은 아니지만 선선하던 바람이 어느새 더운 바람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여름을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