헉! 가정용 3D 프린터로 플라스틱 총까지…

■ 사이언스온 뉴스 플러스



3차원(3D) 프린터로 ‘에이아르-15(AR-15)’ 플라스틱 총을 만들어 발사하는 실험을 담은 영상이 지난 2일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공개되었습니다. 미국 텍사스대학의 법학생인 코디 윌슨(Cody Wilson)이 동료와 함께 만든 ‘분산 방어(Defense Distributed)’라는 모임에서 제작한 이 총은 총알이 6발 발사된 뒤 두 동강 나며 부러졌습니다 (해외매체 기사1, 기사2). 여기에서 사용한 ‘3D 프린터’란 종이 인쇄물이 아니라 3차원 물체를 만들어 출력하는 프린터로, 디지털 설계 데이터를 입력하면 프린터에서 플라스틱이나 금속수지를 뿜어내면서 입체 구조물을 정확히 쌓아 올려 3차원 물체를 만들어냅니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집에서도 쉽게 컵, 핸드폰 거치대 등 플라스틱 모형을 찍어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분산 방어’ 모임을 이끄는 윌슨은 지난 8월 초 동료들과 함께 ‘위키 무기 프로젝트(Wiki Weapons Project)’를 시작했습니다.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총의 설계 데이터를 자신의 컴퓨터로 내려받아 누구나 3D 프린터로 총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윌슨은 약 100만 원에 살 수 있는 가정용 3D 프린터로도 총을 만들 수 있도록 데이터를 설계했습니다. 또한 3D 프린터용 설계 데이터를 공유하는 인터넷 사이트인 싱기버스(Thingiverse)에 총의 설계 데이터 파일을 올렸습니다. 이번 실험은 비록 작은 결함이 생겨 총이 부러지긴 했지만, 인터넷에서 공유하는 총의 설계 데이터를 내려 받아 3D 프린터로 찍어낸 뒤, 총을 조립해 쏘는 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충격적입니다. 더욱이 이는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되는 총기 난사 사고가 잇따라 일어난 미국 사회에서는 더욱 더 큰 우려를 자아내는 일이겠지요.


00gun.jpg » 3차원 프린터로 만든 부품(사진 오른쪽)을 사용해 완성한 총기로 시험 발사를 하는 장면. 출처/ youtube.com현재 시중에서 파는 가정용 3D 프린터로는 '플라스틱' 모형만을 만들 수 있습니다. 총구와 스프링 등 총에서 없어서는 안 될 여러 가지 금속 부품을 가정용 3D 프린터로는 만들 수 없습니다. 가정용 3D 프린터만으로는 금속 총알이 발사되는 총의 완성품을 만들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번 실험에서도 총의 손잡이와 방아쇠 부분만이 3D 프린터로 만들어졌으며, 나머지 부분은 미국의 시중에서 파는 총에서 얻은 부품을 조립해 사용했습니다. 문제는 총의 일련번호가 매겨지는 손잡이 부분을 3D 프린터로 찍어냈다는 점입니다. 지금까지는 경찰과 군이 총마다 고유의 일련 번호를 매겨 관리했지만, 3D 프린터로 총을 만들게 된다면 더 이상 국가에서 총을 관리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3D 프린터로 만드는 총’에 대한 위기 의식이 높아지자, 미국에서는 3D 프린터로 총을 만드는 것을 법과 제도로 막으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에이아르-15’의 3D 설계 데이터가 오른 인터넷 파일 공유 사이트인 싱기버스(Thingiverse)에서는 데이터가 오른 지 일주일 만에 삭제되었습니다. 싱기버스에서는 3D 프린터용 무기 설계 데이터를 ‘모으고, 올리며, 전달하고, 보이거나, 퍼뜨리는’ 모든 것을 금지하고 나섰니다. 또한 문제의 동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된 지 5일 만에 뉴욕 의원인 스티브 이즈라엘(Steve Israel)은 플라스틱 총을 금지하는 법을 갱신하도록 법안을 냈습니다. 플라스틱 총은 금속 탐지기나 엑스선 기계에 잡히지 않아 1988년 이후 이 법에 의해 금지되어 왔으나 법은 2013년 만료를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 성은과 수현의 플러스 채팅


수현 : 헉! 3D 프린터만 있으면 집에서도 총을 만들 수 있다는 거잖아!
성은 : 그래도 미국에서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니 다행이야. 하지만 과연 3D 프린터용 총 설계 데이터가 암암리에 세계 인터넷 사이트에 떠돌아다니는 것까지 막을 수 있을까? 걱정이야.
수현 : 자칫 잘못하다가는 우리나라도 총을 소지할 수 있는 나라가 될지도 모르겠어. 어느 누군가가 총을 만들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이 퍼져 나가겠지? 이렇게 악용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미리 대비를 해야 할 것 같아.
성은 : 설마, 상상하고 싶지도 않아. 실태를 제대로 파악해서 관련법과 규제를 발 빠르게 만들어야 할 시기인 것 같아!

00dot.jpg

'뉴스플러스'는 사이언스온의 과학저널리즘 동아리 '과감(과학으로 세상의 감을 잡다)'의 회원인 김수현, 김성은 님이 주로 운영하는 뉴스룸 코너입니다. (→ '과감' 블로그)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최근기사 목록

  • [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

    뉴스사이언스온 | 2017. 12. 11

    미래/과학/기술/환경 뉴스와 비평, 연재물 서비스사이언스온 옛 글들은 지금처럼 접근 가능합니다 독자님들께안녕하세요. 그동안 작은 도전이었던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의 필자들을 격려해주시고 또 웹진을 사랑해주신 모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

  • “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

    뉴스오철우 | 2017. 11. 07

    특정 언어사용패턴과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발현 사이에 ‘상관성’“무의식적 언어패턴이 의식적 자가보고보다 측정정확도 더 높아” 일상언어 사용의 패턴이 말하는 이 자신도 잘 모르는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

  • 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

    뉴스오철우 | 2017. 11. 07

    ※ 이 글은 한겨레 11월6치 '미래&과학' 섹션 지면에 실렸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분량을 줄이기 이전 원고를 사이언스온에 올립니다.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꿔치기[미래&과학] 주목받는...

  • ‘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

    뉴스오철우 | 2017. 11. 03

    수학적 모형 분석 논문 ‘눈길’세포간 경쟁과 선택, 노화와 암의 ‘딜레마’ 같은 상호관계 다뤄‘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노화를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노화를 일정 정도 늦출 순 있어도 멈출 순 없다는 ...

  • 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

    뉴스오철우 | 2017. 10. 26

    시토신-구아닌 쌍을 티민-아데닌 쌍으로 ‘점 수정’ 이어아데닌-티민 쌍을 구아닌-시토닌 쌍으로 수정기법 개발하버드대학 리우 교수와 MIT 펑 장 교수 각각 성과 발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디엔에이(DNA) 두 가닥을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