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크리스퍼'에 대해 18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유전자 가위’ 단백질(‘Cpf1’) 등장하나
| 2015. 11. 02
펑장 연구진 ‘CRISPR/Cpf1 시스템’ 제시새로운 염기서열 인식하며 작은 몸집 장점 최근에 ‘크리스퍼/카스9(CRISPR/Cas9)’이라고 불리는, 세균의 적응 면역 체계를 이용한 유전체(게놈) 편집 기법이 생물학 연구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 기법은 C...
-
“GMO와 다른 기법으로”, 상추·벼 등 식물 유전자 편집
| 2015. 10. 21
김진수 서울대 교수 등,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논문‘유전자 가위’ 복합체를 식물 세포에 넣어 표적유전자 기능 없애“박테리아 이용 GMO와 달라, 규제사항서 벗어나”…46% 성공률질병이나 스트레스에 강한 외래 유전자를 식물체에 집어넣어 ...
-
“인간배아 유전자가위 연구 허가 신청” -영국
| 2015. 09. 21
4월 중국 연구진 이어, 배아 유전자 편집 사례 될까연구자 “유산 원인 연구 위해 초기배아 유전자 연구”“배아 연구 아직 안돼” “기초단계 연구 필요” 논란 인간의 생식세포(정자·난자) 또는 초기 배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새로운 유...
-
뇌과학과 제2·3세대 게놈편집의 혁명을 이끌다
| 2015. 09. 01
[4] 펑 장(Feng Zhang: 1981- ) 박사와 ‘유전자 가위’ 기술 인류 문명과 더불어 과학과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인류는 의학, 천문학, 물리학, 생물학처럼 그 삶의 여러 영역으로 과학의 진출을 도모했다. 그 결과로 이제 우...
-
중국 과학자, 인간배아 대상 첫 게놈편집 실험 ‘논란’
| 2015. 04. 24
생육불능 인간배아 대상으로 크리스퍼 기법으로 표적유전자 절단-교체연구진 "기술 아직 미성숙"..유전되는 유전자 변형 안전성-윤리성 논란■ 이메일 인터뷰: 국내 두 생명과학자의 견해 (글 아래)‘사람의 배아를 대상으로 유전자를 교정하려는 시도는 ...
-
‘인간배아 게놈편집 연구 중지’ 생명공학자들 제안
| 2015. 03. 17
네이처 기고문 ‘자발적 모라토리움(일시중지)과 공개토론’ 주장“인간 생식세포에 적용 땐 유전 위험…안전성과 윤리 문제 커”“공론장 논의 필요…체세포 대상 질환유전자 치료로 제한해야”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가는 ‘크리스퍼(CRISPR)’ 아르엔에이...
-
게놈편집용 실험동물 첫 등장
| 2014. 10. 01
미연구팀, 염기서열 절단 효소 발현 ‘카스9 마우스’ 생산“간편하게 암 등 모델동물 만들수 있어 질병연구에 도움” [일반적인 실험동물 마우스. 출처 Wikimedia Commons]유전체(게놈)의 염기서열을 자르고 붙이는 유전체공학을 흔히 ‘게놈 편집(gen...
-
'3세대 유전자 가위' 주목, 새로운 게놈편집 기법으로 떠올라
| 2013. 12. 30
올초, 한국과 미국 연구팀 5곳 동시발표뒤 빠르게 확산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 이용, 특정 염기서열 찾아가 절단크리스퍼(CRISPR), 간편하고 빠른 유전체공학 기법 주목 + 일문일답: 국내 연구자 김진수 교수 침입한 바이러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