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인간'에 대해 11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뇌과학, 인공지능과 우리
| 2017. 11. 24
[18] 연재를 마치며: 뇌과학은 어떤 학문인가? 과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과학과 인간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이뤄지려면 시민과 소통하는 과학, 과학과 소통하는 시민이 필요하다. 그리고 뇌과학, 인공지능, 뇌과학이 현실과 부딪히며 생겨난 ...
-
생명과 기계의 경계가 흐려지는 시대에
| 2016. 04. 08
[1] 알파고 충격과 이세돌의 선물 “나, 그냥 캄보디아 오지 같은 데 가서 농사나 지으며 살까?”연이어 승리하는 알파고를 보며 친구에게 했던 말이다. 불안함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 차라리 기술 문명이 들어오는 속도가 더딜 오지로 도망가서 ...
-
이런 상상: 우리가 인공지능 기자, 판사 만든다면…
| 2016. 03. 15
취 · 재 · 수 · 첩 사람세상 경험의 데이터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어뷰징, 선정기사로 학습한 인공지능 기자는?불합리 논란 판결로 학습한 인공지능 판사는? 알파고의 학습형 인공지능이 그 어렵다는 바둑 게임에서 최고수를 5전...
-
‘인간 대 기계 대결’ 확대해석은 금물
| 2016. 03. 14
기 고 유신 카이스트 전산학 교수 컴퓨터의 행동에 무의식적으로 인격을 부여하는 것을 ‘일라이자 효과’라고 한다. 지난 며칠 동안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을 두고 나온 수많은 말은 여태 보지 못한 큰 규모의 일...
-
인간 같은 로봇, 로봇 같은 인간
| 2015. 11. 10
[24] 섬뜩함의 계곡, 언캐니 밸리코흘리개 시절이던 1984년, 우리 또래들의 관심사는 단연 당시 개봉한 만화영화 <로보트 태권 브이(V)>였다. “달려라 달려 로보트야 날아라 날아 태권브이” 하며 주제가를 수도 없이 흥얼거리고, 놀이터의 ...
-
[연재] 인간과 인공물의 경계가 무너지는 시대
| 2011. 02. 07
인지과학, 미래, 테크놀로지 (3) 생활이 복잡해질까봐, 사생활이 침해될까봐 염려하며 끈질기게 저항하여 사지 않고 지내려던 스마트폰을 최근에 드디어 사서 사용법을 한창 배우고 있다. 그러면서 여러 기억과 생각들이 떠올랐다. 되돌아보면 4...
-
[수첩] 구제역과 인간사회
| 2011. 01. 11
1997년 4월부터 이듬해 11월까지 대만에서 구제역이 걷잡을 수 없이 퍼져 403만 마리의 돼지가 살처분됐다. 그해 손실액만 따져 6조5천억원에 이르렀다 한다. 붕괴된 축산업을 살리려 내수 위주의 양돈정책도 마련하고 미국·캐나다에 양돈장을 ...
-
[새연재] 물리학은 사회현상을 설명·예측할 수 있는가?
| 2010. 12. 09
사회물리학의 낯선 여행 (1)- 연재를 시작하며 중학교에 다닐 때 아이작 아시모프의 과학소설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소설에 묘사된 광대한 우주와 (애플이 디자인했을 것 같은) 단순하지만 멋...
-
[연재] 첨단시대, 지구촌 여러분 행복 좀 나아지셨습니까?
| 2010. 08. 23
아줌마들의 과학수다 (15) 식탁에서도, 세면대에서도, 도서관에서도 항상 내 옆엔 휴대전화가 있다. 하루에도 몇 번씩 울려대는 '띵~동' 소리에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면서도 눈은 벌써 문자를 읽고 있다. 하루의 시작도 마무리도 눈꺼풀이 아닌 휴대전...
-
[시각] 인간-인공물 경계 무너지는 융합시대를 내다보며
| 2010. 04. 01
[퍼온글] 인지과학 기술과 미래 융합기술 이정모 성균관대 명예교수/ 심리학·인지과학 16세기의 르네상스를 가능하게 했던 수렴적, 융합적, 총체적 접근이 21세기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