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원자력'에 대해 7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각] 제어공학자가 보는 ‘핵발전 복잡계와 안전성’
| 2012. 03. 08
이 글은 탈핵에너지교수모임이 지난 2월27일 연 ‘핵발전 기술의 파탄: 복합기술의 시스템 취약성’이란 제목의 세미나에서 토론자로서 발표한 윤태웅 교수가 나중에 그 내용을 다듬어 정리한 글이다. 이 글의 축약문을 <한겨레> 3월8일치 ‘...
-
[기획] '위험사회 이론' 울리히 벡 교수 인터뷰
| 2011. 11. 30
::: 사회 속 과학, 소통의 현장 (8, 마지막회) 광우병, 구제역, 고엽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위험사회의 징후가 부쩍 잦아지고 있다. 과학기술이 의도치 않게 잉태한 위험들이다. 위험시대에 정부와 과학자는 안...
-
[기획] '탈핵' 독일에선 한국과 달리 '반핵 과학'도 활발
| 2011. 11. 09
::: 사회 속 과학, 소통의 현장 (7) ::: 독일 원전폐쇄 어떻게? 원전폐쇄 결정까지 ‘위험성 경고’ 과학자들 있었다 지난 3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17인 윤리위원회’를 소집하자, 녹색당과 분트(BUND), 그린피스 독일 등 환경단체는 이에...
-
[기획] '독일 탈핵' 합의 이끈 '17인 윤리위' 총장 인터뷰
| 2011. 11. 09
::: 사회 속 과학, 소통의 현장 (7) 지난 3월 과학은 다시 사회적 시험대에 섰다.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일어난 방사능 유출로 근대 과학이 창조한 원자력 에너지를 사람들이 다시 의심하기 시작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는 1986년 체르...
-
[기획] "끝없이 의심하는 게 과학이고 과학자의 자세"
| 2011. 08. 31
::: 사회 속 과학, 소통의 현장 (2) ::: 고이데 히로아키 교토대 교수 "원자력 연구 40년, 내 목표는 원전없는 세상" [일본 오사카/글·사진 정남구 한겨레 특파원] 인터뷰를 요청했을 때 그는 “교토로 오면 만날 수는 있지만, 1시간 이상은 시간을 내...
-
[기획] 시민과학자로 살다 간 다카기 진자부로
| 2011. 08. 31
::: 사회 속 과학, 소통의 현장 (2) 원자력자료정보실 창설 주도 정부가 숨긴 ‘원전재앙’ 경고 [일본 도쿄/정남구 특파원] “일본 정부나 도쿄전력의 발표는 못 믿겠다. 원자력자료정보실을 보라.” 지난 3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대량...
-
[만평] 핵은 무서워
| 2011. 06. 11
꽉 선생의 일기 (71) 1980년대에는 핵자기공명영상(NMRI,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e)이란 말을 주로 썼는데, 1990년대부터는 자기공명영상(MRI)이란 말을 쓰게 되었다. 핵의 위험에 관해서 끊임없이 논쟁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회 분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