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신뢰'에 대해 13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재현성 위기는 과학불신과 연구낭비를 초래한다
| 2016. 04. 27
[2] 재현성 위기의 실태와 그 결과 ‘재현성 위기’(reproducibility crisis)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초였다. 이런 데에는 심리학 분야에서 있었던 몇몇 사건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이를 테면 지난 2011년, 해당 분야...
-
우리는 왜 복수하고 싶어 하나?
| 2015. 08. 24
[11] 치밀하고 잔인한 상상: 복수심 영화나 드라마에서 우리는 종종 복수심을 자극하는 시나리오를 접한다. 그런데 이런 시나리오에 몰입하다 보면 무언가가 과감히 생략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왜 그런 갈등이 생겨났는지, 관계가 어떻게 얽히고...
-
“전문가-저널리스트 협력, 신뢰 미디어 구현 노력”
| 2015. 06. 01
인터뷰 오스트레일리아 ‘더 컨버세이션’ 과학에디터, 팀 딘뉴미디어 다양한 시도중 하나, 공익기금 운영 미디어호주 이어 영국·미국, 최근에는 아프리카에서도 개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등장하고 발전하면서, 미디어 환경도 바...
-
김빛내리 교수의 논문에 무슨 일이…
| 2012. 07. 20
취˚재˚수˚첩 실험시약 자체의 문제 밝혀내고 지난해 발표한 논문 자진 철회논문 철회에 되레 “과학 발전 기여, 용기 있는 행동” 격려·칭찬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와 연구팀은 유전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세포 내 물질로 새롭게 조명받...
-
[연재] 방사선에 대처하는 생활인의 자세
| 2011. 05. 16
아줌마들의 과학 수다 (33) 어느 때보다도 '세계는 하나'라는 사실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일본의 원자력발전소 중대사고에 너나 할 것 없이 세계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원전 사고로 일본의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을 걱정하기보다는 자...
-
[수첩] 과학의 날에 '과학기술인 반성' 성명 낸 까닭은?
| 2011. 04. 21
과학기술 시민단체 과실연, "국민과 소통, 신뢰 부족을 겸허히 반성" ‘과학의 날’(4월21일)에 과학기술 관련 단체들이 성명서를 내는 일이야 이상할 게 없지만, 오늘 ‘바른 과학기술 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이 낸 성명서는 정말 이례적인 ...
-
[시각] 위험사회와 과학소통의 민주화를 생각하며
| 2011. 04. 15
[ 김영욱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학과 교수 ] 우리는 위험사회에 살고 있다, 어떻게 헤쳐갈 것인가? 사람들은 왜 현대사회가 더 위험에 처해 있다고 느끼는 것일까? 평균 수명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늘어났고,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문명의 이...
-
[시각] "자연은 속지 않는다, 안전 홍보보다 현실이 우선"
| 2011. 03. 18
[ 후쿠시마 원전 참사와 '위험사회'를 지켜보며 ] 성공적인 기술을 위해서는 현실이 홍보에 우선해야 한다. 자연은 속지 않기 때문이다 --리처드 파인만(1918~1988), 1986년 챌린저호 폭발사고 조사에 참여해 연일 들려오는 일본 후쿠시마 원자...
-
[수첩] 나사의 '티저' 홍보
| 2010. 12. 13
“애타게 하다라는 뜻의 영어 ‘티즈’(tease)에서 비롯한 말로, 중요 내용을 감춰 소비자의 궁금증을 일으킨 뒤 점차 제모습을 드러내는 광고를 말한다. 제품 일부만을 보여주거나 불완전 정보를 주어 호기심과 기대를 높이며 최종 광고효과를 극대...
-
[수첩] 과학의 윤리, 과학의 신뢰를 생각하며
| 2010. 10. 08
과학의 윤리, 과학의 신뢰 (* 이 글은 10월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의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의 연구윤리 세션에서 발표한 원고입니다. 기존에 써온 여러 글들을 종합하고 새로운 생각을 더해 작성했습니다. 부족한 발표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