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중 수혈의 의술, 그 지난했던 역사
네 번째 이야기: 투구게의 살신성인 ⑤
… 그러나 수혈은 결코 쉽지 않았다. 알 수 없는 쇼크사와 같은 의학적 부작용은 둘째 치고라도 체내에서 나온 혈액은 너무 빨리 응고되었기 때문에 수혈자의 피를 환자에게 주입하기란 매우 까다로웠다. …이처럼 살균 처리를 했는데도 눈에 보이지 않는 오염은 20세기 중반까지 의료계의 골칫거리였다. 그러나 그 원인을 입증해 줄 유력한 증거들은 1800년대 말부터 일찌감치 연구되어 있었다 …
투구게의 살신성인: ①②③④화 먼저 보기
http://scienceon.hani.co.kr/171135
http://scienceon.hani.co.kr/238196
http://scienceon.hani.co.kr/241878
참고 자료
○ 더글러스 스타. 『피의 역사』. 박범수(역). 자음과모음, 2004.
○ HemOnc Today,“James Blundell: pioneer of blood transfusion”. Healio, February 25, 2009.
(http://www.healio.com/hematology-oncology/news/print/hemonc-today/%7Be144eb73-e097-43b0-b128-65af2c9029a4%7D/james-blundell-pioneer-of-blood-transfusion)
○ Jef Akst. “New Blood, circa 1914”. The Scientist, April 1, 2014.
(http://www.the-scientist.com/?articles.view/articleNo/39508/title/New-Blood--circa-1914/)
○ Kaadan, Abdul Nasser, and Mahmud Angrini. "Blood transfusion in histo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History of Islamic Medicine (JISHIM) 2009 (2010): 62.
○ Williams, Kevin L. “Limulus Amebocyte Lysate Discovery, Mechanism, and Application.” in: Williams, Kevin L., ed. Endotoxins: pyrogens, LAL testing and depyrogenation. CRC Press, 2013.
김명호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사이언스온의 길목]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