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북극 소용돌이


00polarvortex » 북극 소용돌이를 보여주는 위성 영상.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이상 한파를 일으킨 원인으로 ‘북극 진동’이라는 낯선 말이 요즘 자주 등장한다.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사통합검색(KINDS)에서 찾아보니, 북극 진동이라는 말은 전국 종합 일간신문에서 2009년까지 거의 등장하지 않다가 지난해 23건에 이어 올해 1월 현재 17건의 기사에서 다뤄졌다.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라는 말은 2007년부터 급증했는데 기후변화는 여전히 중요한 단어이지만 지구온난화는 지난해부터 크게 줄었다.


북극 진동은 “북극에 있는 찬 공기의 소용돌이가 수십일 또는 수십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기상청)을 말한다. 이런 강약의 시소는 고위도·중위도의 대기 순환을 대규모로 바꾸며 동아시아의 강수량 증가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허창회 서울대 교수)도 있다. 진동의 강약을 좌우하는 요인은 북극 대류·성층권에 형성되는 거대 소용돌이다. 극지와 중위도의 온도·기압차로 인해 바람이 극지 쪽으로 불고 지구 자전 때문에 휘돌아 생기는 소용돌이는 극지가 추울수록 강해진다. 극지 찬 공기는 소용돌이 안에 갇히는 꼴이 되니까, 소용돌이가 세면 중위도에 끼치는 북극 찬 공기의 영향은 줄어든다. 거꾸로 극지가 온난화해 소용돌이가 약해지면 찬 공기의 영향권은 커진다.


지구 평균 온도는 온난화 추세를 보여도 이처럼 기후변화의 국지적인 모습은 영 다르고 복잡하다. 방 안의 평균 온도는 높아도 찬 아랫목이 있을 수 있다. 지구 기후는 복잡계다. 많은 기후 요인들이 에너지와 열을 밀고 당기며 모으고 흐트리는 복잡계에 참여한다. ‘온난화 탓에 한파가 닥친다’는 모순이 실제 지구 행성에서 자연현상이 되는 것은 그만큼 지구 대기 순환의 변동이 역동적이며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보여준다. 온난화와 한파라는 대립하는 두 말이 저마다 진실을 지닌 채 한 문장 안에 공존할 수 있는 것은 북극 진동이라는 이음매가 있기 때문이다. [오철우 / 한겨레 미니칼럼 '유레카' 1월27일치]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오철우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기자, 사이언스온 운영
1990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편집부, 사회부, 문화부, 생활과학부 등을 거쳤으며 주로 과학담당 기자로 일했다. <과학의 수사학>, <과학의 언어>, <온도계의 철학> 등을 번역했으며, <갈릴레오의 두 우주체제에 관한 대화>를 썼다.
이메일 : cheolwoo@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창조과학’ 장관후보에, 과학기술계 ‘깊은 실망과 반대’‘창조과학’ 장관후보에, 과학기술계 ‘깊은 실망과 반대’

    취재수첩오철우 | 2017. 09. 05

     취재수첩 | 창조과학자 박성진 장관 후보 지명 논란  문 정부 지지층에서 비판 더 강해, ‘창조과학 비판’ 과학자들 자발적 연재뉴라이트 역사관, “창조공학 필요”, “대기업집중 불가피” 인식도 논란불씨 한 중견 과학자는 “여러 정...

  • 실험실의 지엠오, 시장에 나온 지엠오실험실의 지엠오, 시장에 나온 지엠오

    취재수첩오철우 | 2016. 07. 05

     …취 재 수 첩…  노벨상 수상 110명 “인도주의적 GMO, 반대운동 중단하라”미국과학아카데미 “지엠오와 전통작물 차이 증거 발견 못해”그린피스 “식량과 생태농업 현실적 대안 이미 있는데” 반박“표시제논란과 겹쳐 가열…과학논쟁,...

  • ‘전문연 제도’, 연구인력 정책 틀에서도 논의해야‘전문연 제도’, 연구인력 정책 틀에서도 논의해야

    취재수첩오철우 | 2016. 05. 25

    제도 시행 40여 년 거치며, 병역 정책은 이제 기초 과학기술 연구에도 영향국방 정책 울타리 넘어 연구인력 육성수급이라는 더 큰 관점에서 논의 필요 1973년 이래 시행된 ‘전문연구요원(‘전문연’)의 대체복무 제도’를 폐지할 계획이라고 밝힌 국...

  • 이런 상상: 우리가 인공지능 기자, 판사 만든다면…이런 상상: 우리가 인공지능 기자, 판사 만든다면…

    취재수첩오철우 | 2016. 03. 15

      취 · 재 · 수 · 첩   사람세상 경험의 데이터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어뷰징, 선정기사로 학습한 인공지능 기자는?불합리 논란 판결로 학습한 인공지능 판사는? 알파고의 학습형 인공지능이 그 어렵다는 바둑 게임에서 최고수를 5전...

  • 궁금한 인공지능과 ‘딥러닝’궁금한 인공지능과 ‘딥러닝’

    취재수첩오철우 | 2016. 03. 11

      취 · 재 · 수 · 첩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이 바둑의 정상에 있는 프로기사를 5번기 제1, 2국에서 잇따라 이겼습니다.바둑을 둘 줄 모르다가 이번 ‘이세돌 대 알파고’ 대국을 계기로 이것저것 살펴보니,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은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