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말라리아'에 대해 14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감염병엔 국경 없다…협력이 퇴치의 최선전략감염병엔 국경 없다…협력이 퇴치의 최선전략

    정준호 | 2016. 04. 25

    [2] 4월25일은 세계 말라리아의 날‘25년여 만에 0건’ 선언 유럽 사례가 ‘말라리아 유행국’ 한국에 주는 교훈 WHO: Global malaria progress and challenges in 2016 [ 말라리아 퇴치 노력의 성과와 현황, 대응전략을 담은 세계보건기구(WHO)의 ...

  • 자연의 미생물과 약초 뒤져 찾은 기생충질환 약물열쇠자연의 미생물과 약초 뒤져 찾은 기생충질환 약물열쇠

    오철우 | 2015. 10. 06

       그림으로 보는 노벨상 2015    캠벨과 오무라, 투유유의 기생충 감염질환 약물 개발 업적,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대표적인 기생충 감염 질환의 치료 약물을 개발하는 데 크게 공헌한 연구자들한테 돌아...

  • '고통스런 질병 ‘치쿤군야’를 경계하라'"고통스런 질병 ‘치쿤군야’를 경계하라"

    손재천 | 2014. 10. 13

    [8] 질병 매개 곤충의 대명사, 모기 언젠가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류에게 가장 위험한 동물을 설문 조사한 적이 있다. 설문에서 호랑이나 상어 같은 육식 동물이 대답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작은 고추가 맵다’더니, 정작 사람의...

  • [뉴스] 'GM모기 영향평가, 투명하게 시행해야 대중 신뢰'[뉴스] "GM모기 영향평가, 투명하게 시행해야 대중 신뢰"

    오철우 | 2012. 02. 22

    영국 기업의 뎅기열 퇴치 위한 GM모기 야외방출에 우려 제기 독일 과학자, "투명하게, 명확하게, 증거 기반" 점검목록 제시 인류를 괴롭히는 열대 질병을 퇴치할 유력한 수단이 될 것인가, 아니면 환경 생태계를 교란하는 위험 요소가 될 것인가? 뎅...

  • [연재] '고백한다, 내가 배운 열대의학은 허깨비였다'[연재] "고백한다, 내가 배운 열대의학은 허깨비였다"

    정준호 | 2011. 03. 24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21)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열대의학에 관한 글을 <사이언스 온>에 연재한 지도 어느 새 반년이 넘게 흘렀다. 얼마 전에 의료봉사 활동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이제는 이 연재도 마무리할 때가 되었다(아프리카에...

  • [연재] '경제성' 따지는 말라리아 박멸사업의 슬픈 현실[연재] '경제성' 따지는 말라리아 박멸사업의 슬픈 현실

    정준호 | 2011. 01. 14

    말라리아 질병의 정치경제학 ④ -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6)           말라리아의 경제학     며칠 전에는 산 아래 동네에서 살충제 살포 팀에서 일하는 사람이 피부염에 걸려 우리 클리닉을 방문했다. 높은 농도의 살충제와 자주 접하는 살포 팀 직원...

  • [연재] '말라리아 방제 실패는 냉전시대 정치갈등의 산물'[연재] "말라리아 방제 실패는 냉전시대 정치갈등의 산물"

    정준호 | 2010. 12. 28

    말라리아 질병의 정치경제학 ③ -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5)           말라리아의 정치학           영국 런던 자연사박물관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규모와 소장품으로 유명하다. 고풍스런 외관에 현관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자마자 눈을 사로잡는 거대한 공룡...

  • [연재] '말라리아 유행의 3박자': 아프리카·미국 역사에서[연재] '말라리아 유행의 3박자': 아프리카·미국 역사에서

    정준호 | 2010. 12. 17

    말라리아 질병의 정치경제학 ②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4)          말라리아와 불안정성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 중에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이지"라는 말이 있다. 사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이 말은 엄밀히 보면 대체로 반쪽짜리 진실이다. 현...

  • [연재] 기후변화로 걱정 더 커진 말라리아[연재] 기후변화로 걱정 더 커진 말라리아

    정준호 | 2010. 12. 10

    말라리아 질병의 정치경제학 ①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3)         스와질랜드와 말라리아         얼마 전 일요일에, <사이언스온>에 원고를 보내기 위해 읍내의 컴퓨터를 쓰려고 버스를 타고서 산길을 덜컹거리며 내려가고 있었다. 옆에 앉은 사람이 ...

  • [연재] 에이즈 왜 아프리카에서 확산하나? ..기생충의 역할[연재] 에이즈 왜 아프리카에서 확산하나? ..기생충의 역할

    정준호 | 2010. 11. 22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1)       HIV와 기생충     3월 말, 이곳에 처음 왔을 때에 우리 클리닉에 등록된 HIV(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감염자 수는 607명이었다. 그리고 이제 11월, 오늘 클리닉에 등록된 HIV 감염자 분의 등록번호는 701번...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