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기생충'에 대해 15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의 미생물과 약초 뒤져 찾은 기생충질환 약물열쇠
| 2015. 10. 06
그림으로 보는 노벨상 2015 캠벨과 오무라, 투유유의 기생충 감염질환 약물 개발 업적,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대표적인 기생충 감염 질환의 치료 약물을 개발하는 데 크게 공헌한 연구자들한테 돌아...
-
기생충박멸협회 -만평
| 2015. 08. 01
꽉 선생의 일기 (284) ■ 실제로 기생충박멸협회가 박멸되었다는 말은 덜 정확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로 이름이 바뀌면서 더 발전되었다는 말이 정확하다. 만화에서는 극적으로 나타내려고 덜 정확한 말을 썼다. 기생충학 선생님은 이해하기 바란다. ...
-
‘기생충의 숙주고착’ 흉내낸 의료용품 발명 눈길
| 2013. 04. 17
한국인 제1저자 참여한 미국 대학병원 연구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논문"장내에 머리 부분 찔러넣은 뒤 부풀려 고착하는 기생충 생존 방식에서 영감" 한국인 박사가 제1저자로 참여한 미국 대학병원의 연구팀이 숙주의 장내 벽에 달라붙어 사는 기생...
-
[알림] '2011년 올해의 과학책'에 '기생충, ...동반자'
| 2012. 01. 03
문지문화원 사이와 사이언스온 공동기획, ‘올해의 과학책’ 정준호 지음,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 선정 아프리카 스와질랜드에서 함께 사진을 찍은 지은이 정준호(왼쪽)씨와 어린 친구 '센조'. 2011년 ‘문지문화원 사이’와 한계레신문사...
-
[책] 사람 온기 느껴지는 기생충연구자의 천일야화
| 2011. 06. 24
_올해의 과학책 - 5월 서평___ 문지문화원 사이와 사이언스온 공동기획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정준호 지음 | 후마니타스 부끄러움과 실망이 교차하던 시간에 정준호의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를 만났다. 그리고 서문에서, ...
-
[책] 숙주와 기생충, 뛰어라, 경쟁하라, 공존하라
| 2011. 05. 25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정준호 | 후마니타스 대변 봉투과 기생충의 추억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야가 주로 우리 사회의 경험에 주로 바탕을 두고 있었다면, 이 책은 기생충을 바라보는 그 시야를 자연과 생태계, 그리고 지구촌 공동체로 넓...
-
[마지막회] 안녕, 아프리카! 그래도 못 잊을 사람들아
| 2011. 04. 07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22, 마지막회) 지난해 6월25일 “실험실 밖으로, 아프리카 세상 속으로”라는 첫번째 글을 시작으로, 그동안 스와질랜드에서 의료봉사를 하며 겪었던 일, 새롭게 품은 생각들을 모아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라는 연재 ...
-
[연재] "고백한다, 내가 배운 열대의학은 허깨비였다"
| 2011. 03. 24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21)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열대의학에 관한 글을 <사이언스 온>에 연재한 지도 어느 새 반년이 넘게 흘렀다. 얼마 전에 의료봉사 활동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이제는 이 연재도 마무리할 때가 되었다(아프리카에...
-
[연재] 에이즈 왜 아프리카에서 확산하나? ..기생충의 역할
| 2010. 11. 22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1) HIV와 기생충 3월 말, 이곳에 처음 왔을 때에 우리 클리닉에 등록된 HIV(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감염자 수는 607명이었다. 그리고 이제 11월, 오늘 클리닉에 등록된 HIV 감염자 분의 등록번호는 701번...
-
[연재] 언제나 같지 않은 '번개 맞을 확률, 병 걸릴 확률'
| 2010. 11. 16
아프리카에서, 살며 배우며 (10) 번개 맞을 확률 몇 년 전 광우병과 관련한 논란이 한참 불타오를 때, 사람들이 광우병의 위험성과 그 통계에 대해 이야기하며 ‘번개 맞을 확률’을 자주 언급했던 기억이 난다. 한국에서 번개는 그리 자주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