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교육'에 대해 20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정치인, 과학인의 균형 -만평
| 2016. 08. 20
꽉 선생의 일기 (339) ■ 정치인과 과학인이 균형을 이루었다고 말하는 다른 까닭이 있다. 한쪽으로 치우쳤다고 말하면, 남한테 쉽게 공격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쪽으로 치우쳤다고 말하면, 아무하고나 친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정치인과 과학인...
-
학부모의 마음 -만평
| 2016. 04. 02
꽉 선생의 일기 (319) ■ 비슷한 일이 같은 대학교에서도 일어난다. 교수의 자식이 같은 대학교에 입학했을 때이다. 그러면 그 교수는 동료 교수한테 꼼짝 못한다. 동료 교수는 보기 싫어도 때때로 봐야 하므로 중요하다. 그 교수의 자식은 등...
-
책은 유익한 것, 웹서핑은 무익한 것?
| 2015. 04. 15
김서경의 '인지과학 뉴스 브리핑' 뇌의 비밀을 캐려는 인지·신경과학 연구가 활발하고, 그래서 뉴스도 잇따른다. 연구자인 김서경 님이 지구촌의 화제가 되는 인지신경과학 뉴스를 정리해 격주로 전한다. [3] 인터넷 ...
-
과학 용어를 외운 방법 -만평
| 2015. 01. 24
꽉 선생의 일기 (257) ■ 나는 외우는 것이 싫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 함께 외우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만화처럼 밀물과 썰물을 외우는 방법은 개발하였지만, 만조(밀물)와 간조(썰물)는 개발하지 않았다. 만조와 간조를 초등학교에서 배우지 않았기 ...
-
생명과학 8번 문항, 실수인가 함정인가?
| 2014. 11. 20
취재수첩 실수와 함정, 무엇이 더 위태로울까 한쪽에선 8번 문항이 출제 오류라고 말하는 게 문제에 드러난 모호함을 가장 명쾌하게 설명해주며 오류가 아니라고 주장하려면 구구해진다고 말합니다. 다른 한편에선 논란이 ...
-
과학교육 개선, 문·이과 통합, 영재고 방향 등에 관해 말하다
| 2012. 10. 12
[자료] 타운미팅 토론 발언록 -'이공계 교육 정상화' 분과다음은 지난 9월22일 열린 '2012 대선, 과학기술인 말하다 : 현장의 목소리로 채우는 과기정책 제안' 제2차 타운미팅의 '이공계 교육 정상화' 분과에서 나온 참석자들의 주요 발언 기록을...
-
[연재] 쉰네 차례 풍성했던 과학수다의 막을 내리며
| 2012. 03. 05
■ 연재를 마칩니다 한겨레 사이언스온과 함께 시작한 연재물 ‘아줌마의 과학 수다’가 2년 남짓만에 수다 무대의 막을 내립니다. 평범한 시민에서 과학 이야기꾼으로 멋지게 변신한 네 명의 이야기꾼들이 그동안 2주마다 들려준 정감 있고...
-
[연재] 디지털교과서 시대 성큼, 엄마들의 마음자세는?
| 2011. 12. 26
아줌마들의 과학 수다 마흔아홉 번째 이야기- 디지털 교과서 세상이 정신 없이 바뀌어도 선생님이 앞에서 가르치고 학생들 여럿이 앉아 책과 공책을 펼쳐놓고 배우는 학교의 풍경은 쉽게 바뀌지 않을 줄 알았다. 그런데 이제는 책과 공책이 ...
-
[연재] "사람은 겉으론 '창의성' 외치지만 실제론 기피"
| 2011. 12. 19
인지과학, 미래, 테크놀로지 (6) '인간의 반창의성 편향' 보여준 심리학 실험결과 국내에 번역 출간된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바버라 스트로치 지음)의 표지 삽화 부분. 요즈음 국내 학교나 기업에서도, 과학기술 관련 정부기관이나 학원, 학부...
-
[연재] 이공계생의 "만들어진 정치·사회 무관심"
| 2011. 09. 14
::: 이공학도, 우리들이 사는 세상 (23) --- 이공계생의 낮은 사회참여 왜일까? 궁금했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라는 말을 온 국민이 알 정도로 분명히 우리 이공계에 문제가 있는 듯한데, 왜 이런 문제에 대처하는 이공계 학생들의 움직임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