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과학기술'에 대해 10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공개접근 확산…유럽 “2020년까지 시행”지식 공개접근 확산…유럽 “2020년까지 시행”

    오철우 | 2016. 05. 31

    영국·미국에 이어 유럽연합 위원회서 합의안 채택구체 일정 제시 없지만 ‘뚜렷한 흐름’ 자리 잡은듯 공적 기금이 들어간 과학/기술 연구의 결과물은 누구나 볼 수 있게 공개하자는 ‘지식의 공개접근’ 운동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확산하고 있다....

  • 과학과 민주주의: 증거와 토론에 열린 사회를 위해과학과 민주주의: 증거와 토론에 열린 사회를 위해

    사이언스온 | 2013. 10. 11

      endo의 편지    정부, 과학, 민주주의"...과학과 증거 기반에 의한 의사결정 그리고 건설적인 토론은 국민의 번영과 건강 및 안전을 증가시키고 민주주의를 강화합니다. 과학과 민주주의는 열린 마음으로 언제든지 새로운 증...

  • 창조경제와 미래부, 제 길 찾아야창조경제와 미래부, 제 길 찾아야

    사이언스온 | 2013. 04. 17

    이 글은 <한겨레> 4월16일치 지면에 같은 제목으로 실린 '시론'과 같은 논지의 글입니다. 실릴 지면에 맞춰 분량을 줄이기 이전의 애초 원고를 필자인 김민수 시민참여연구센터 운영위원장·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의 허락을 받아 이곳에...

  • 과학기술과 민주주의의 공존을 위한 레시피과학기술과 민주주의의 공존을 위한 레시피

    사이언스온 | 2013. 01. 29

    과학 기술 민주주의대니얼 리 클라인맨 엮음, 김명진·김병윤·오은정 옮김 | 갈무리 "...과학기술에도 시민 참여가 필요하다는 당위론을 넘어서서, 시민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시민 참여가 이루어지면 어떤 장점이 있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

  • 아직 안갯속 '미래창조과학부'아직 안갯속 '미래창조과학부'

    오철우 | 2013. 01. 10

     과실연 주최 토론회 "미래창조과학부 정체성 무엇인가'  콘트롤타워, 부처 기능의 범위와 성격, 부처 이름에 관심 쏠려국과위 위상 강화, 과학기술 전담부처, 정보통신 분리 등 의견 "창조경제를 견인할 '미래창조과학부' 신설…창의력·상상...

  • 정책제안 마무리 토론, 조정, 투표...밤 7시40분 막내려정책제안 마무리 토론, 조정, 투표...밤 7시40분 막내려

    이승아, 이은지 | 2012. 11. 01

      10.27 마지막 타운미팅 토론마당 스케치   현장의 목소리 타운미팅 27일 카이스트 강당 회의실에서 열려10~70대 50여 명 참석, 정책제안 최종문건 11월중 세 후보캠프에 전달 “이렇게 하나의 주제를 놓고서 몇 차례에 걸쳐 집중 토론...

  • 국가 경제성장 논리에 묶인, 헌법 속의 과학기술국가 경제성장 논리에 묶인, 헌법 속의 과학기술

    사이언스온 | 2012. 10. 26

    "지금까지 받아들여진 ‘경제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 연구개발 예산 투입’이라는 아주 좁은 의미의 과학과 기술을 해방시켜, 자연에 대한 이해와 공존, 사회의 다양성과 기술의 접목, 나아가 저소득층과 저개발국의 빈곤 타파를 위한 과학기술의 ...

  • 정권과 유행 바람 타지 않는 과기정책을 말하다정권과 유행 바람 타지 않는 과기정책을 말하다

    사이언스온 | 2012. 10. 17

    [자료] 타운미팅 토론 발언록 -'과학기술 정책 방향' 분과다음은 지난 9월22일 열린 '2012 대선, 과학기술인 말하다 : 현장의 목소리로 채우는 과기정책 제안' 제2차 타운미팅의 '과학기술 정책의 방향' 분과에서 나온 참석자들의 주요 발언 기록...

  • [연재] 첨단시대, 지구촌 여러분 행복 좀 나아지셨습니까?[연재] 첨단시대, 지구촌 여러분 행복 좀 나아지셨습니까?

    과학수다팀 | 2010. 08. 23

    아줌마들의 과학수다 (15) 식탁에서도, 세면대에서도, 도서관에서도 항상 내 옆엔 휴대전화가 있다. 하루에도 몇 번씩 울려대는 '띵~동' 소리에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면서도 눈은 벌써 문자를 읽고 있다. 하루의 시작도 마무리도 눈꺼풀이 아닌 휴대전...

  • [연재] '자연과학-사회과학 두 언어의 논쟁'[연재] "자연과학-사회과학 두 언어의 논쟁"

    박상욱 | 2010. 02. 04

    '과학자 vs. 과학자의 가상토론' 연재를 시작하며        자기분열적인 1인 2역 가상 논쟁. 자연과학자와 사회과학자가 과학기술에 관한 여러 가지 주제를 놓고 서로 전혀 다른 언어로 싸운다. 영국의 작가이자 과학자인 찰스 퍼시 스노(1905~80)가 말한...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