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인문학연구회 알림 자료]



신경인문학연구회에서 "젊은 신경윤리 연구자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대학원생들이 중심이 되어 신경과학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고찰을 논할 것입니다.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선생님과 학생분들의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제 1회 젊은 신경윤리 연구자 워크숍


인문학이 바라본 신경과학
: 사회적, 윤리적 고찰



일시: 2011년 8월 19일 금요일 오후 1:30-5:30
장소: 서울대학교 신양인문학술정보관 301호
주관: 신경인문학연구회
주최: 뇌과학과 신경과학의 사회적 신뢰 구축에 대한 연구단
후원: 뇌프론티어사업단





초대의 말씀


최근 급속한 발전을 이루는 신경과학의 연구를 기반으로 인간의 행동과 마음을 뇌의 작용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디어에서 보도되는 범죄자의 뇌 측정 결과, 뇌를 강화시키는 약물의 복용, 뇌 활성화 게임 등은 신경과학의 연구성과들이 우리 가까이에 다가와 있음을 암시합니다. 이처럼 신경과학과 그 응용 분야가 확립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신경과학의 성과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성찰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경윤리학은 신경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생겨나는 인문사회학적인 문제들을 분석하는 새로운 학제간 연구분야로서, 신경과학과 사회의 원활한 소통을 이루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에 신경인문학연구회는 젊은 연구자들이 지닌 인문학적 관점과 과학적 관점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니 관심 있는 선생님들과 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 드립니다.


신경인문학연구회 대표 홍 성 욱





프로그램
1:30-1:45 등록
1:45-1:50 개회사 (홍성욱, 신경인문학 연구회 대표)


1:50-3:30 1부: 뇌과학의 역사·사회적 고찰, 사회: 장하원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박지영 (서울대학교, 석사) 산티아고 라몬 카할의 신경 연구에서 조직염색법의 역할과 위상, 1887-1897
한선미 (서울대학교, 석사과정) 대중의 뇌 과학 이해: 지식의 주입을 통한 “대중의 과학화”를 넘어서
윤선희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여성과 남성의 뇌는 다른가?
토론: 이상욱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


3:30-3:50 break (20분)


3:50-5:30 2부: 뇌과학의 윤리·철학적 고찰, 사회: 김연화 (서울대학교 석사과정)
유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의학적 의사결정능력판단기준의 윤리적 문제 :
의학적 결정능력 판단에 있어서 민법의 ‘성년 연령 기준’ 적용 비판
전진권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확장된 마음과 진화
오경준 (한양대학교, 석사과정) 피터 싱어의 도덕적 고려 대상 설정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
토론: 장대익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5:30 폐회


포스터 링크
http://blog.naver.com/neuroethics/50117844707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5913
152 만능세포 비밀 완전공개 - 프리모(Primo) 세포의 역분화 [4] 유전 2014-03-18 117763
151 과학자도 모르는 생체전기이야기 cjh198 2017-07-14 99979
150 불가지론에 대한 해답 유전 2017-07-25 97958
149 브릭이 뽑은 '국내 의생물학 분야 2013년 올해의 뉴스' image 사이언스온 2013-12-20 64909
148 최근 5년 논문 추이를 주제어 검색으로 본다 imagefile water77 2012-09-25 63545
147 '양자역학의 관찰자 효과', 그 근거를 제안합니다. [3] uniontera6 2012-06-03 62023
146 (증명) 리만 가설 imagefile [6] 유전 2017-03-03 60082
145 중력(질량)의 근원은 관측행위이다 [3] gber20 2016-06-05 59516
144 초전도체 반중력 마이스너 상태일 때의 중성부력 (아래 내용에서 보강함) imagefile 유전 2014-02-28 57029
143 만화 '꽉 선생/닥터 사이펀' 소개 에세이, 과학편집인저널에 실려 imagefile water77 2015-09-11 56868
142 힉스 괴현상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gber20 2013-09-06 52646
141 중력과 질량의 정의. 우주의 중심 [3] 유전 2016-01-09 52551
140 중력 암흑물질 비밀 다 풀렸다 gber20 2014-03-01 52118
139 중력자 없는 중력의 실체 [2] 유전 2015-06-22 48992
138 [알림] 타운미팅 포스터 널리 알려주세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8-06 48125
137 5차원에서온 중력과 관성력(원심력)은 같다 gber20 2011-08-22 47450
136 외계인(UFO)은 올수 있다 그 결정적인 이유를 말하자면 gber20 2015-01-12 46408
135 정월 대보름 둥근달은 다음날(25일) 뜬다 imagefile water77 2013-02-21 45965
134 [공지] '개편 축하축하 댓글' 이벤트 발표 사이언스온 2012-07-25 45261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