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와 함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때를 벗겨내고 세균을 없애기 위해 비누를 씁니다. 그런데 비누는 세균이 번식하지 않는 무균지대일까요? (독자 sahara_k@naver.com)

 

 h21_20121015.jpg » 한겨레21 윤운식

 

끝없는 논쟁이 예감됩니다. 제가 아는 어떤 의사와 미용전문가는 꼭 물비누로만 손을 씻습니다. 특히 다 같이 사용하는 비누는 세균을 옮길 수 있다는 이유로 절대 쓰지 않습니다. 또 다른 의사는 공공화장실에 놓인 비누로 손을 씻습니다. 미국의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아예 고체 비누를 쓰지 않는 것은 물론 항상 전용 손소독제를 가지고 다닌다지요. 세균 민감족과 세균 불감족이 의견일치를 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비누에 세균과 박테리아가 득시글거린다는 공포는 오래됐습니다. 세균 민감족들의 경전 <굿바이, 세균>에서는 “고체 비누를 쓰지 말고 물비누 용기에 들어 있는 비누를 쓰라”고 권합니다. 다른 사람의 세균을 손에 묻히는 것을 막으려는 것입니다. 미국 은퇴자협회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를 보면 “손을 깨끗이 하려고 비누로 씻지만 비누에 남아 있는 박테리아와 세균이 더 묻을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다. 게다가 이 협회는 “공중화장실 물비누통의 25%가 배변 세균으로 오염됐다”는 미 애리조나대학의 연구 결과를 들며 “공중화장실 비누통은 아예 만지지도 말고 만졌으면 15~20초 동안 뜨거운 물로 손을 씻으라”고 합니다.

 

정말 화장실에 있는 비누에 세균이 있는지를 <한겨레21>이 물어본 전문가들의 의견은 좀 다릅니다. 화장품과 생활용품을 만드는 아모레퍼시픽 연구팀은 “비누는 높은 pH를 유지하기 때문에 세균이 생성되기 어려운 환경”이라는 의견을 보내왔습니다. 보통 ‘화장비누’라고 부르는 세안용 비누는 pH 산도가 6을 넘는 알카리성 비누입니다. 게다가 세정 성분이 세균을 억제하기 때문에 세균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식품안전의약청 미생물과 이순호 연구관도 “비누에 균이 있는지 없는지보다는 비누를 사용할 때 세균이 우리에게 옮겨오는지를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계면활성제는 우리 몸에 있는 것을 떨어내는 역할을 하는데, 비누에 세균이 있다고 해도 씻겨나가지 우리 몸에 붙는다고 보기는 상식적으로 어렵답니다.

 

비누 논쟁은 19세기 말에 있었던 목욕 논쟁과 비슷합니다. 파스퇴르가 눈에 보이지 않던 세균과 박테리아의 존재를 생생하게 그려낸 뒤 서구에서는 대대적인 위생 논쟁이 있었다고 합니다. 어떤 위생학자들은 “목욕으로 박테리아가 기생하는 빌미를 줄 수 있다”고 했고, 또 다른 위생학자들은 “목욕을 하면 피부에 있는 미생물 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고 해서 끝없는 논쟁을 했습니다. 세균의 존재를 알자마자 무균질 인간에 대한 미망이 시작된 셈입니다.

 

단국대 의예과 서민 교수는 “비누로 손을 씻어 세균이 옮은 경우는 장담컨대 단 1건도 없다”며 “왜 예뻐지는 비누는 믿지 않으면서 항균비누는 믿느냐”고 되묻습니다. 우리 몸에 있는 세균들은 좋은 세균과 나쁜 세균이 균형을 지키고 있는 상태인데 나쁜 세균만 공격하거나 몰아내야 한다는 생각은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답니다.

 

그러나 어쩐지 오늘 이 기사를 쓰고서는 비누를 여러 번 물에 씻은 뒤 손을 씻을 것 같습니다. 세균 이야기를 너무 많이 했습니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출처 한겨레21 http://h21.hani.co.kr/arti/reader/together/33090.html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2739
53 서울대 박사도 '취업은 넘사벽' jjangia7 2012-08-07 32204
52 빛과 불 fire의 정의 유전 2015-06-23 32104
51 '2013 세계 뇌 주간' 3월9~16일 전국 공개강좌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3-03-08 32067
50 수박과의 한판 승부^^ imagefile [3] ph1942 2012-08-01 31944
49 공간에 대한 충격적인 비밀을 풀었다 [2] gber20 2012-12-27 31938
48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 과학자처럼 사고하기 imagefile andora21 2012-01-26 31745
47 [정보] "아토과학 -전자 술래잡기" 포항서 강연 사이언스온 2011-07-11 31640
46 힉스입자가 암흑물질이였다 gber20 2013-06-19 31596
45 [알림] 2차 타운미팅 결과 보고 확인해보세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9-24 31287
44 그런 쓰레기같은 수학으로 [1] gber20 2012-08-01 31188
43 왜 힉스 힉스장 이해하기 어려운가 gber20 2013-11-01 31099
42 대학원생/연구개발직(생물) 설문조사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3-07-26 31027
41 뇌과학을 우주론과 엮는다 gber20 2013-07-16 30999
40 힉스가 평행우주 증명해 [2] gber20 2013-02-11 30975
39 힉스 지금의 과학수준으로는 이해 할수없는 입자 [2] gber20 2012-12-23 30907
38 (알림) 9월 22일 긴급 서버 점검 admin 2011-09-21 30891
37 아래 '시'에 성[性]과 지진 자리 공개합니다. uniontera6 2011-12-23 30685
36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 미래 아이디어 80 추천해요 imagefile wonibros 2012-01-12 30487
35 달에 첫 발자국 남기고 여든둘에 지구서 잠들다 imagefile ph1942 2012-08-27 30467
34 [초대] 3차 타운미팅, 27일 카이스트에서 열립니다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10-22 30443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