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C 자료
[원문 보기]
- BRIC 이용자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Shinya Yamanaka, John Gurdon
예측 모두 적중 -
- Shinya Yamanaka 노벨 수상 공감도 가장 높게 나타나 정확히 적중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재생의학연구소 교수(50)와 존 거든
영국 케임브리지대 거든연구소장(79) 2명이 선정됐다. 야마나카 교수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의 세계적 권위자로, 거든은 핵
이식 및 복제 분야 개척자로 알려져 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는 8일 야마나카와 거든의 두 연구가
합쳐져서 엄청난 진보를 이뤄냈고, 또 새로운 발견을 위한 계기가 되었고, 질병을 연구 진단하고 치료할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또한 스웨덴 노벨위원회는 두 과학자가 유도만능줄기세포 개발과 응용 과정에 기여한 점이 인정 되었고, 이미
성숙해 제 기능이 정해진 세포라도 인체의 모든 세포 조직으로 자랄 수 있는 미성숙 세포, 즉 만능줄기세포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걸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BRIC과 한겨레 사이언스온에서는 노벨상 수상자 발표를 앞두고 노벨 생리의학상과 화학상 수상자
예측 행사를 진행하여 노벨 생리의학상 후보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모두 예측하였다.
Shinya Yamanaka 박사의 경우 올해 예측 행사에서 이용자들의 최다 공감을 받은 인물이다.
이번 행사는
2010년, 2011년에 이어 세번째로 시행하는 것으로 영광의 수상자가 누구인지 정확히 맞히는 데에 초점을 둔 것은 아니라,
수상자 예측과 이유를 모으다 보면 현대 생리의학과 화학 분야에서 어떤 연구 주제들이 주목 받고 있고, 또한 왜 그렇게 주목 받아야
하는지 그 배경과 이유들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현대 생명과학과 의생명
과학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연구자와 연구테마들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올해 예측 행사는 이전 이벤트를 보완하여 2010년, 2011년 예측 행사를 통해 이미 추천된 과학자에 대해서 '공감'을 표시하는 참여 형태와 이와 더불어 새로운 인물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노벨상을 예측하는 기관으로는 Thomson Reuters가 있다. 매년 Thomson
Reuters는 자사 연구 솔루션인 "Web of Knowledge™"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벨상 수상 분야인 생리학, 의학,
물리학, 화학, 경제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들을 정량적인 분석에 의해 선정되고 있다. Thomson Reuters는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가 받는 인용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연구 영향력이 있는 주요 연구자들을 Thomson Reuters
Citation Laureates로 선정하고 이들이 올해 또는 가까운 장래에 노벨상을 수상할 것이라는 예상을 함께 내놓고 있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으로 선정하는 Thomson Reuters와는 달리 BRIC에서는 노벨상생리의학상 예측은 연구자들의 경험을 통한 추천이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Shinya Yamanaka
- Shinya Yamanaka 교수는 줄기세포 연구에 전문가로서 역분화 만능 줄기세포를 연구하셨습니다. 역분화 만능 줄기세포란 만능분화능 (pluripotency) 을 가지고 있지 않던 분화된 세포들이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을 통해 만능분화능을 가지도록 유도된 세포들을 일컫는 말로서 유도만능줄기세포 (iPS: induced Pluripotent StemCell) 라고도 합니다. 역분화 만능 줄기세포 연구의 역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이들 세포들이 진정한 배아줄기세포의 대체가 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충분한 검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추후에 이에 대한 검증 결과들이 많이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굉장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수상의 예상되며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역분화 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환자 면역 적합 형 세포치료제를 개발할 수가 있음 ② 난자나 배아를 사용하지 않고도 만능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 동안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걸림돌이었던 종교적 그리고 생명 윤리적 논쟁을 잠재울 수 있음 ③ 환자 자신의 피부세포로 만능줄기세포를 만든 후 세포를 얻기가 어려운 기관인 뇌 나 심장 등의 세포로 분화를 시키게 되면 이 세포들을 이용하여 환자 자신의 뇌 질환이나 심장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음 ④ 환자세포 유래 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방법개발, 신약 스크리닝이나 약물 독성 실험 들을 수행할 수 있음 또한 Shinya Yamanaka 교수님은 2007년 타임지에서 올해의 인물에 선정, 2008년 TIME 100 Finalist 2010년에는 Kyoto prize, 2009년에는 Albert Lasker Basic Medical Research Award를 수상 하였으며 2010년 9월에는 Balzan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1년에는 Albany Medical Center 에서 Biomedical 부분. Wolf Prize 에서 의학부분, King Faisal International에서 수상하였습니다. Asian Scientist Magazine 에서 2011년 5월에 아시아의 주목해야 할 15명의 과학자에 선정되었습니다. (닉네임: ascendo)
John Gurdon
- 개구리 소장 세포의 핵을 난자핵과 치환하여 최초의 animal cloning 인 개구리 복제를 성공하였음. 일련의 연구를 통해 성체의 세포핵이 초기 분화 이전의 세포핵의 특성으로 되돌아가는 nuclear reprogramming 이 일어남을 보였음 (1962). 현재까지도 왕성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Gurdon Institute 를 이끌면서 많은 후학을 양성해왔음. (닉네임: 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