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보도자료



정월 대보름날의 달은 둥근달이 아니다
- 실제 둥근달은 하루 뒤인 25일에,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은 6월에 뜬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필호)은 올해 정월 대보름에 보이는 달은 완전한 둥근 달이 아니며, 실제 둥근달은 25일(월) 오후 5시 57분에 떠올라 26일 새벽 5시 26분에 가장 둥근 모습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올 해 가장 크게 보이는 달은 양력 6월에 보이는 음력 5월 보름달이다.

오는 24일(일)은 음력 1월 15일로 정월 대보름날이지만, 월령 14.2일로 완전한 원형이 아닌 약간 일그러진 달이 뜬다.  둥근달은 지구를 기준으로 달이 태양의 정 반대편에 있을 때 보이게 된다.

음력으로 한 달은 29일 또는 30일이지만 실제 달이 보름달에서 다시 보름달로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기간은 29.53일이다. 따라서 실제로 달이 태양의 정 반대에 위치해 완전히 둥근 모습으로 보이는 것은 음력 보름날과 하루나 이틀 정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음력 1일은 달이 태양방향에 위치하는 순간(달의 합삭시간)이 포함된 날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합삭시간이 늦은 밤이나 이른 새벽에 있을 경우 보름날 달의 모양이 일그러질 수 있다.   2012년 정월 대보름날에도 실제 둥근달은 이틀 뒤에 떴고, 오는 4월에도 음력 보름날보다 이틀 뒤인 26일에 둥근달이 뜬다.

또한 올 해 달이 가장 크게 보이는 날은 6월 23일(음력 5월 15일)이고, 반대로 가장 작게 보이는 날은 12월 17일(음력 11월 15일)이다. 이 때 달의 크기는 거의 13% 차이가 난다.

달의 실제 크기는 언제나 일정하지만 우리 눈에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이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달이 커 보이고 멀면 작게 보인다. 6월 23일 오후 8시 지구와 달의 거리는 35만 7205km로 평균거리인 38만 4400km에 비해 약 3만km 가깝고, 12월 17일 오후 6시에는 40만 3187km로 평균거리보다 약 2만km 멀다. 따라서 6월의 보름달이 가장 크게 보이고 12월의 보름달이 가장 작게 보인다.


[주요 지역의 달의 위치에 따른 시간표]
 
해발고도 0m를 기준으로 달의 윗부분이 지평선(수평선)상에 보이거나 사라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뜨고 지는 시각을 산출한 자료이다. 따라서 해발고도와 지형, 공기의 밀도, 온도 등에 따라 실제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기타 지역의 월출·몰 시각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의 천문우주지식정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http://astro.kasi.re.kr/)
00moon2.jpg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6532
153 [타운미팅] 최종 정책 제안집 확인해보셨나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12-11 26693
152 [정보] 전문성의 정치와 민주주의 -국제워크숍 imagefile 오철우 2011-07-13 27208
151 (알림)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서버 점검 admin 2011-07-20 27963
150 외계인(UFO) 올수도 있다 gber20 2012-09-10 28319
149 과총이 이공계대학생 과학기술동아리를 지원하네요 image 오철우 2011-08-01 28401
148 '과학관에서 1박2일' 과천과학관 행사 접수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3-07-15 28771
147 [단신] 정부부처 내년 R&D예산 16조9249억원 요구 사이언스온 2011-07-08 28784
146 서울대 연구진실성위 "안철수 논문 본조사 필요성 없다" 결론 water77 2012-11-16 28814
145 "나로호 3차발사, 내달 26~31일 추진' -교과부 water77 2012-09-11 28867
144 [단신] 과천과학관: 여름 자유탐구여행 참가자 모집 사이언스온 2011-07-08 29262
143 겨울 초입... 서리 내린 철쭉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11-12 29348
142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 신입생에게 추천하고 싶은 과학책 ds5pnz 2012-01-12 29540
141 파란 하늘 보고파 imagefile [1] rarabok 2012-08-30 29603
140 '쓰레기 DNA'의 재발견 사이언스온 2012-09-07 29705
139 힉스입자 존재하지 않을수도 있다 [2] gber20 2012-10-24 29784
138 문진아카데미, 1기 수강생 모집 (과학커뮤니케이션) 사이언스온 2013-06-18 29897
137 새로운 물리학의 발견이다 gber20 2012-08-23 30131
136 힉스마저 진실을 은폐하려고해 [3] gber20 2013-03-16 30201
135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 신입생에게 추천하고 싶은 과학책 [1] noogie 2012-01-12 30429
134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 한반도 자연사 기행 imagefile sasevery 2012-01-30 30441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