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과학을 그리다

조회수 35301 추천수 0 2012.09.14 15:11:31

a20120914.JPG » 울가 짐스카(미국)의 <움직임 속의 고요함-엄마 연작2>. 자궁을 상징한다.

 

미술 비엔날레 ‘프로젝트 대전’
올해 첫 전시 주제는 에네르기
13개나라 64개팀 작가들 참가


“최악의 과학자는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이며, 최악의 예술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가이다.”


물리학자 아르망 트루소의 말처럼, 좋은 예술을 위해선 과학적 사고가 필요하고, 뛰어난 과학자는 예술적 영감을 갖춰야 한다. 예술과 과학은 실은 무척 닮았다. 새로운 생각으로 새로운 이치를 밝혀나가는 작업이란 점에서 예술과 과학은 서로의 장점을 필요로 한다. 미술은 늘 과학적 발견을 흡수해서 새로운 경향을 만들었고 외연을 넓혔다. 둘은 친숙한 짝패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술과 과학과 관계를 탐구하는 새로운 미술행사가 마련됐다. 대전시가 마련한 미술 비엔날레, ‘프로젝트 대전’이다. 과학도시를 표방하는 대전의 특성을 내세워 대전시립미술관이 올해 1회를 여는 ‘프로젝트 대전’의 첫번째 주제는 ‘에네르기’. 미술관 쪽은 서구의 ‘에너지’와 동양권의 ‘기’(氣)를 합친 말로 에너지와 기가 예술에서도 중요한 의제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밝혔다. 19일 개막해 대전시립미술관 전관을 비롯해 엑스포 공원과 한밭수목원, 갑천, 대전의 구도심인 중구와 동구 일대에서 야외예술과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 등을 포함해 다양한 작품을 펼쳐 보인다. 강희준, 김순임, 박영균, 성동훈, 신학철, 양아치, 장지아, 최영옥, 천경우, 허강, 로랑 그라소(프랑스), 아이웨이웨이(중국), 오다니 모토히코(일본) 등 13개국 64팀 작가가 참여한다.

 

b20120914.JPG » 미카미 세이코와 이치카와 소타(일본)의 <그라비셀스>. 관람객이 들어가면 중력을 감지해 중력의 저항을 시청각화한다.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장지아씨의 작품 <도축된 한 마리의 소로 만든 오브제>는 소 한 마리를 도축하면 얻을 수 있는 피를 소재로 조각을 만드는 과정을 담은 영상작품. 제목과 이미지만으로는 끔찍해 보이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혈액이 어떻게 생명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지 생각해보게 하는 주제를 담았다. 양아치 작가는 좀더 직접적으로 과학을 접목한 작품을 선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문원 박사와 함께 뇌의 비정상적인 징후를 영상과 퍼포먼스로 보여준다. 프랑스의 콤비 작가팀 ‘세노코즘’은 관객이 식물을 만지면 에너지를 감지해 소리를 내는 <아쿠스마플로레>,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정전기로 만들어지는 빛으로 에너지를 시각화하는 <라이츠 컨택츠>를 출품했다.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은 “지금까지 과학과 예술의 만남 하면 주로 뉴미디어 아트를 떠올렸는데 이제 그런 단계를 벗어나 사회과학까지 포함하는 과학과 예술의 근본 문제를 고민하겠다는 것”이라고 전시 취지를 설명했다. 11월18일까지, 어른 7000원, 학생 5000원. 매주 월요일과 추석 당일은 쉰다. (042)602-3200.  구본준 기자 bonbon@hani.co.kr 

_출처: 한겨레신문 9월 14일자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6294
93 인류 최초의 지식이 도데체 무엇이었을지 추정해봅니다. uniontera6 2012-05-28 33279
92 질량을 부여하는것은 입자가 아니라 우주공간 gber20 2011-09-16 33440
91 빛보다 빠른 물질과 빛보다 빠른 효과 [1] gber20 2012-05-22 33451
90 새내기에게 추천하고 싶은 과학책 - 실체에 이르는 길 sb778 2012-01-29 33558
89 무한소수 무한소 계산법 유전 2017-01-10 33560
88 유령같은 힉스장 아주쉬운 비유로 설명하자면 [1] gber20 2014-12-21 33591
87 이공계 대학생과 함께하는 총선 정책토론회, 4월2일 scienceon 2016-03-31 33796
86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 모두를 위한 물리학 imagefile admin 2012-01-28 34004
85 상대론과 양자역학의 격돌을 보는것같다 [1] gber20 2012-08-12 34023
84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공기위를 걷는 사람들/가브리엘워커 sciosori 2012-01-31 34213
83 사이언스온에 올라오는 글을 이메일로 자동으로 받아 볼 수있는 서비스는 없나요? [1] ljhzjang 2014-09-18 34372
82 [초대] 2차 타운미팅, 22일 한겨레 청암홀에서 만나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9-14 34615
81 무한수의 좌표 표기 유전 2015-07-07 34704
80 상대론과 빛보다 빠른 물질은 공생할수 있다 [2] gber20 2011-09-26 34780
79 언제까지 청소로봇만... 로봇들 '천사' 돼주오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8-08 34846
78 아태물리센터 '과학소통' 겨울학교 모집중 사이언스온 2012-01-17 34889
77 '차세대 여성과학자를 위한 열가지 조언’ 사이언스온 2011-08-29 34929
76 뇌과학과 평행우주론의 연관성 [2] gber20 2013-07-25 34946
75 바보들의 행진 - 열역학 법칙 [1] 유전 2014-03-12 35215
» 미술, 과학을 그리다 imagefile jjangia7 2012-09-14 35301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