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1.JPG » 강아지 모양의 로봇이 춤을 추자, 독도 경비대원과 함께 살고 있는 삽살개 '독도 지킴이'가 신기한 듯 쳐다보고 있다. 지식경제부 제공, 노현웅 기자

 

세계 4위 기술력 자랑하지만

대기업들 외면에 투자 미미

로봇산업 시장성 확대위해  지경부·로봇산업진흥원 나서

독도 등서 공연, 관심 유도

 

#1 지난 6일 오후 5시께 독도 접안 부두에서 ‘독도는 우리땅’ 노래가 울려 퍼졌다. 40㎝ 높이 직립 로봇 5대와 강아지 모양 로봇 5대가 최근 유행하는 ‘독도 플래시몹’ 춤을 추기 시작했다. 아침 체조로 이 춤을 추고 있다는 독도 경비대원 10명도 로봇과 함께 춤을 췄다. 로봇과 사람이 함께하는 ‘플래시몹’이 완성된 셈이다. 동해 한복판 강한 바람에 로봇이 쓰러지고, 강한 햇볕과 높은 습도에 오작동이 일어나도 다들 즐거운 표정이었다. 경비대원과 함께 살고 있는 삽살개 ‘독도 지킴이’는 낯선 ‘강아지’가 신기한 듯, 킁킁 냄새를 맡으러 다가오다 도망치기도 했다.


#2 이에 앞서 지난 5일 동해시 묵호항에서 울릉도로 향하는 ‘선플라워 2호’에서도 로봇의 리허설 무대가 있었다. 일제히 도열한 낯선 로봇을 보며 시큰둥한 표정을 지어 보이던 승객들은, 소녀시대의 ‘Gee’, 2PM의 ‘어게인’ 등 히트곡 안무를 따라하는 로봇을 보며 조금씩 모여들기 시작했다. 이어 팔짱을 낀 직립 로봇들이 허리를 흔들며 브라운아이드걸스의 ‘시건방춤’을 추기 시작하자 환호성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날 공연의 하이라이트는 강아지 로봇의 몫. 승객들의 환호에 화답이라도 하듯, 고개를 처박은 강아지들이 물구나무를 서고 뒷다리로 ‘웨이브 춤’을 추자 박수갈채가 터졌다. 노심초사 로봇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양현창 로봇진흥센터장의 얼굴에도 그제야 웃음이 번졌다.

 

rr2.JPG »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로봇공연단 및 독도 플래시몹의 독도걸스가 지난 6일 독도 동도 접안장에서 공연을 펼치고 있다. 지식경제부 제공, 노현웅 기자

 

울릉도·독도에 나타난 로봇들은 지식경제부와 로봇산업진흥원·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함께 주최한 ‘로봇 1004 프로젝트’의 주인공이었다. 지난 5월 소록도 공연에 이어, 두번째 소외계층 위문 공연에 나선 것이다. 로봇들은 6~8일 울릉도 저동항에서 열린 ‘오징어 축제’에도 등장했다.


이런 행사를 기획한 이유는 로봇 산업의 ‘외로움’을 타개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국은 전 세계 4위 정도의 로봇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지만, 로봇 생산 업체는 대부분 중소기업이다. 대기업 가운데 동부그룹과 한국야쿠르트 정도는 로봇 산업에 투자를 하고 있지만, 삼성·엘지전자 등 거대 기업은 시장성이 검증된 청소용 로봇에만 매달린 상황이다. 로봇산업진흥원의 한태환 연구원은 “로봇은 전자, 계측, 기계가 완벽한 밸런스를 이뤄야 정상 작동한다”며 “전자 산업 경쟁력의 종합편이 로봇인데 비해, 관심과 투자가 낮은 편이어서 아쉽다”고 말했다.


지경부와 로봇산업진흥원은 미래 한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 가운데 하나로 로봇 산업을 꼽고 있다. 강감찬 지경부 로봇산업과장은 “청소 로봇으로 검증된 로봇 산업의 시장성은 앞으로 교육·오락·국방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센터장도 “2018년까지 세계 1위 로봇 기술력이 있는 일본을 따라잡는 것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어린애들 장난감 정도로 여기는 인식을 개선하고 시장성을 갖추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이런 행사도 로봇을 이벤트로만 다루는 것 아니냐”는 질문엔 “언제까지 반도체·자동차만 팔아서 한국 경제가 먹고살 수 있을 것 같으냐”며 “20년 안에 로봇 산업이 생활의 영역에 파고들 텐데, 그때를 위해서 더한 생쑈도 할 자신있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독도/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6309
93 인류 최초의 지식이 도데체 무엇이었을지 추정해봅니다. uniontera6 2012-05-28 33279
92 질량을 부여하는것은 입자가 아니라 우주공간 gber20 2011-09-16 33442
91 빛보다 빠른 물질과 빛보다 빠른 효과 [1] gber20 2012-05-22 33453
90 새내기에게 추천하고 싶은 과학책 - 실체에 이르는 길 sb778 2012-01-29 33559
89 무한소수 무한소 계산법 유전 2017-01-10 33566
88 유령같은 힉스장 아주쉬운 비유로 설명하자면 [1] gber20 2014-12-21 33591
87 이공계 대학생과 함께하는 총선 정책토론회, 4월2일 scienceon 2016-03-31 33798
86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 모두를 위한 물리학 imagefile admin 2012-01-28 34005
85 상대론과 양자역학의 격돌을 보는것같다 [1] gber20 2012-08-12 34024
84 [올해의 과학책 이벤트 응모]공기위를 걷는 사람들/가브리엘워커 sciosori 2012-01-31 34214
83 사이언스온에 올라오는 글을 이메일로 자동으로 받아 볼 수있는 서비스는 없나요? [1] ljhzjang 2014-09-18 34375
82 [초대] 2차 타운미팅, 22일 한겨레 청암홀에서 만나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9-14 34616
81 무한수의 좌표 표기 유전 2015-07-07 34707
80 상대론과 빛보다 빠른 물질은 공생할수 있다 [2] gber20 2011-09-26 34782
» 언제까지 청소로봇만... 로봇들 '천사' 돼주오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8-08 34846
78 아태물리센터 '과학소통' 겨울학교 모집중 사이언스온 2012-01-17 34889
77 '차세대 여성과학자를 위한 열가지 조언’ 사이언스온 2011-08-29 34932
76 뇌과학과 평행우주론의 연관성 [2] gber20 2013-07-25 34946
75 바보들의 행진 - 열역학 법칙 [1] 유전 2014-03-12 35216
74 미술, 과학을 그리다 imagefile jjangia7 2012-09-14 35306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