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만물은 질량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보는 티비에도 마시는 물에도 창문 너머에 달에게도
질량은 존재한다 이것은 그 누구도 부정할수 없는 절대적인 사실이며 당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입자들 즉 표준모형이론에서는
질량을 설명 할수 없었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질량을 부여한다는 개념을 도입 할수 밖에 없었고
그래서 스스로 질량을 갖는 힉스입자가 등장할수밖에 없었다
유일한 스칼라 입자인 힉스입자는 게이지 대칭성을 깨어 다른 입자들에게 질량을 부여한다라는 것
이 과정(힉스 메커니즘)에서 우주만물 즉 질량을 가진 물질이 빛보다 느려진 이유도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상대론에서 질량을 가진 물질은 빛보다 빠를수 없는 이유에 대한 결정판이였다
만약 우주만물에 질량을 부여하는 힉스입자가 발견되지 않고 또다시 흔적만 발견 된다면
이것은 참으로 역설적이지만 힉스입자가 빛보다 빠른 물질을 예곈한것이나 마찬가지가 된다
질량을 가진 물질이 빛보다 느려진 그 결정적인 이유가
힉스입자가 질량을 부여하기 때문인데 질량을 부여한다라는 주체가 흔적만 발견되었다라는 의미는
힉스입자는 없거나 있다면 무수히 많을것이다
이것은 질량의 근원은 입자적 성질과 파동적 성질을 동시에
가졌다라는 의미이며 이런 질량의 근원(힉스입자의 입자적 성질과 파동적 성질)으로 부터
질량을 부여받은 질량을 가진 입자들은 빛보다 느려질 이유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빛보다 느려질 이유도 없다라는 것이다
그 근원은 우주공간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속성에 있다
즉 우주공간의 이중적인 성질(국소성성질과 비국소성성질)때문이다
질량을 부여한다라는 개념을 도입한다는 자체가 우주공간의 이중적인 성질 때문이였다
우주만물은 질량을 가지고 있는데 왜 질량을 부여 받아야 하며 질량을 부여 해야만 했는가???
표준모형이론에서 입자들이 질량을 설명할수 없는 이유가
우주공간의 비국소성 성질 때문이며
힉스입자로 부터 질량을 부여받아 입자들이 질량을 갖는것은
우주공간의 국소성성질 때문이다
우주공간은 비국소성 성질과 국소성성질을 동시에 가졌기에
우주만물은 질량을 가지고 있는데도 질량을 부여한다라는 개념을 도입한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