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공간상으로 떨어진 두 입자가 분리되지않은

한덩어리임을 의미한다

아인 슈타인이 불확정 원리를 비판하자,,,,,,,

 

아인 슈타인 본인도 일반 상대론의

반만 이해한 국소성 원리 사고실험

보어의 설명과 뉴턴의 만유인력을

유령같은 원격작용이라며 비웃었던,,,,

 

아인 슈타인의 국소성 원리 사고실험에서

이 우주에 태양과 지구만 있다고 가정하자

태양이 갑자기 사라진다면 태양이 사라진 정보의 속도는

빛의속도(중력파의 속도)로 지구에 전달 될것이다

 

그래서 그 시간까지 지구는 궤도를 유지 할것이다

이것이 국소성 원리이며 일반 상대론의 결론이다

 

그러나 뉴턴의 만유인력은 비국소성(비분리성)에 의해

정보의 속도 빛의속도 중력파의 속도에 전혀 구애 받지않고

궤도에서 바로 이탈 해버린다

 

이것이 우주공간의 근본적인 속성이며  그 속성은 일반 상대론의 핵심인

등가원리가 성립하는이유이기도 하다
 

 

태양이 갑자기 사라져도 궤도를 유지하려는

지구의 질량은 중력질량이다

왜냐면 태양이 갑자기 사라져도 태양과 지구사이(주위)에

중력(중력파) 휘어진 시공간의 파동도 갑자기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뉴턴의 만유인력은 바로 궤도를 이탈해 직선운동을 하는데

그 지구의 질량은 관성질량이다   

물리학자 존 휠러는 공간의 곡률이 물질의 운동을 결정하고

물질의 운동이 공간의 곡률을 결정한다고 한다

 

궤도를 유지하려는 지구의 중력질량과

바로 궤도를 이탈해버린 지구의 관성질량은

일반 상대론의 핵심인 등가원리에의해 같다

 

왜냐 태양이 갑자기 사라져도

지구의 질량이 사라지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구의 중력질량과 관성질량은 여전히 주위의 시공간을 휘게한다

 

무수히 많은 시공간의 덩어리(다중우주)들이

자발적 대칭성 붕괴로 인해 하나의 시공간 덩어리가 탄생해도

 

중력(중력파) 시공간의 파동은 사라지지 않는다

질량(시공간의 덩어리)은 시공간을 휘게하고

그 휘어진 시공간이 중력(중력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우주 다중우주로 가는 길이 존재할것이며

이 우주 탄생이 신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는것을 과학넘어 과학이 증명할것이다

평행우주 다중우주는 정적으로 존재하는게 아니라 역동적으로 존재한다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6130
152 불가지론에 대한 해답 유전 2017-07-25 98126
151 과학자도 모르는 생체전기이야기 cjh198 2017-07-14 100073
150 극대수에서 한번에 소수 찾기 imagefile [24] 유전 2017-03-16 38636
149 (증명) 리만 가설 imagefile [6] 유전 2017-03-03 60144
148 (증명) 무한각형은 완벽한 원(서클)이다. imagefile [2] 유전 2017-02-11 37981
147 무한소수 무한소 계산법 유전 2017-01-10 33516
146 고전역학 VS 양자역학 유전 2016-11-28 37730
145 무한다각형 그리기 imagefile [2] 유전 2016-11-16 37099
144 차원 = 공간 속의 공간 [4] 유전 2016-11-01 43216
143 중력(질량)의 근원은 관측행위이다 [3] gber20 2016-06-05 59580
142 쌍둥이역설 오류 imagefile 유전 2016-05-26 30795
141 중력파 오류 imagefile [1] 유전 2016-05-17 36760
140 송유근 표절이 아닌 이유 [1] 유전 2016-05-11 37547
» 다른 우주(다중우주)로 가는 과학이 존재할것 [9] gber20 2016-04-10 37138
138 중력파 발견 다중우주론 증명해 [3] gber20 2016-04-04 43606
137 이공계 대학생과 함께하는 총선 정책토론회, 4월2일 scienceon 2016-03-31 33761
136 중력과 질량의 정의. 우주의 중심 [3] 유전 2016-01-09 52615
135 21세기 과학 문명사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 [3] 유전 2015-12-28 42051
134 만화 '꽉 선생/닥터 사이펀' 소개 에세이, 과학편집인저널에 실려 imagefile water77 2015-09-11 56939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