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국내의 대표적인 의생물학 연구자 커뮤니티인 브릭(생물학연구정보센터)이 최근 국내 연구자 500여 명의 의견을 모아 '올해의 의생물학 뉴스'를 뽑아 발표했습니다. 요즘 생물학 연구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자료인지라, 브릭의 발표 자료를 이곳에 옮겨 싣습니다. 신경과학 연구, 질병 관련 연구, 그리고 유전자 편집 등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성과 주목받았으며, 올해의 주요 단어로 방사능, 기초과학연구원(IBS), 비정규직, 살인진드기 등이 꼽혔습니다.  -사이언스온


.


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생명과학관련 연구자들이 선정한 '2013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를 발표했다.


생명과학관련 연구자 총 503명이 선정에 참여한 올해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는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연구성과(5건), 사회 경제학적으로 파급력이 큰 연구성과(5건), 의학적으로 영향력이 큰 연구성과(5건), 바이오 분야 뉴스(5건)로 구성이 되었다.


icon_0012918.gif
0000505_1.jpg0000644_1.jpg  치매의 원인 밝혀내다...KIST-POSTECH-성균관대 공동연구팀
 발표저널: PNAS
 교신저자 : 신연균 (KIST, Iowa State Univ.), 이남기 (POSTECH)
연구진은 하나의 포낭 주머니가 세포막에 융합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첨단 단분자 융합 연구방법을 이용, 알파시뉴클린 응집독소체가 뇌 활동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저하시켜 기억 및 인지 활동의 저해를 가져와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0001103_1.jpg0001629_1.jpg 단백질 생체내 분자 인식 메커니즘 가설 단분자 수준에서 증명
 발표저널 : Nature Chemical Biology
 교신저자 : 김학성 (KAIST), 홍성철 (서울대학교)
단백질 생체내 분자 인식 메커니즘은 그동안 생물 교과서에 가설로만 등장하던 내용이다. 김 교수 연구진이 50년 만에 단분자 수준에서 단백질 구조전호나 속도가 변하는 현상을 증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단백질 조절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0001906_1.jpg  눈의 셔터 로돕신 단백질 변환과정 규명
 발표저널 : Nature
 교신저자 : 최희욱 (전북대학교, Charite - Universitatsmedizin Berlin)
시각 신호 전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로돕신 단백질이 빛 신호를 뇌로 전달하면서 모양이 바뀌었다가 되돌아오는 과정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과학계에선 망막 단백질 손상으로 시력이 상실되는 각종 질병을 치료할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도자료]
0000786_1.jpg  초파리 모델에서 장 점막 면역작용과 장내 세균의 항상성 유지에 조절자로 작용하는 Uracil의 역할 규명
 발표저널 : Cell
 교신저자 : 이원재 (서울대학교)
본 연구는 초파리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여 장내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조절 되는 면역반응 기전에 대해 밝혀냈다. 이 같은 발견은 ECC에 의해 분비되어 DUOX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유도체인 Uracil을 동정함으로써, “어떻게 장 세포의 면역 시스템이 symbiont에 반응하지 않고 allochthonous 박테리아만을... [보도자료]
0000187_1.jpg  기온변화 감지하는 식물의 온도계 단백질 규명
 발표저널 : Science
 교신저자 : 안지훈 (고려대학교)
국내 연구진이 봄철 한파나 이상고온 등 갑작스런 기온변화에 따른 작물이나 화훼 등의 생산성 저하를 막기 위한 실마리를 찾아냈다. 대기온도 변화를 감지해 식물의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기온변화대응 유전자를 찾아낸 것이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는 SVP와 FLM 같은 전사조절 단백질이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여... [보도자료]

icon_0012937.gif
0022960_1.jpg 알츠하이머 유발 원인구조 분자수준에서 규명
 발표저널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교신저자 : 김선희 (KBSI)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와 금속이온의 결합구조가 분자수준에서 규명됨에 따라, 향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금속이온과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와의 결합 구조를 밝힌 것"이며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보도자료]
0000022_1.jpg RNA 가위로 동·식물 유전자 재단한다
 발표저널 : Nature Biotechnology
 교신저자 : 김진수 (서울대학교)
RNA를 이용해 특정 DNA 염기서열을 절단하는 '3세대 유전자 가위(RGEN)'가 개발됐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RGEN은 작은 RNA와 단백질 효소로 구성돼 RNA만 교체하면 어떤 유전자라도 인식할 수 있고 기존 유전자 가위보다 빠르고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김 교수는 "유전자가위 기술은 학계의 큰 주목을 받는 21세기... [보도자료]
0001762_1.jpg MRI·CT 보다 선명한 암세포 진단 기술 개발
 발표저널 : Nature Materials
 교신저자 : 현택환 (서울대학교)
무독성 나노입자를 활용해 몸 속 암세포 등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발광영상보다 높은 해상도로 암 등 다양한 의료분야의 초정밀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보도자료]
0023547_1.jpg 몸속 치료하는 마이크로 로봇 개발
 발표저널 : Advanced Materials
 교신저자 : 최홍수 (DGIST)
자성물질인 니켈과 생체적합성 재료인 티타늄을 코팅한 3차원 구조물 형태의 마이크로 로봇 제작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제작된 마이크로 로봇은 자기장 제어 시스템을 이용해 인체 내에서 정밀한 위치 탐색과 방향 제어가 가능한 로봇으로 혈관, 뇌, 눈과 같이 액체로 채워진 신체기관에 줄기세포 또는 치료약물을 전달해... [보도자료]
0000711_1.gif 미생물에서 가솔린 개발, 대장균 대사회로 개량통해 개발 성공
 발표저널: Nature
 교신저자 : 이상엽 (KAIST)
연구진은 대사공학적으로 개발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로부터 가솔린(휘발유)을 생산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나무 찌꺼기와 잡초 등 풍부한 비식용 바이오매스를 이용해 기존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산업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보도자료]

icon_0012957.gif
0001127_1.jpg0001399_1.jpg 당뇨병과 비만 잡을 마이토카인 규명
 발표저널 : Nature Medicine
 교신저자 : 최철수 (가천의과대학교), 이명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당뇨병과 비만 치료가 가능한 ‘마이토카인‘ 물질을 규명하여, 당뇨병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마이토카인은 비만한 사람의 인슐린 저항성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비만에 따른 각종 질병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도자료]
0002625_1.jpg 암 진행·전이 조절 분자 기능 및 경로 발견
 발표저널 : Hepatology
 교신저자 : 김대곤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간암 및 담관암의 진행과 전이를 조절하는 표적분자인 EphA2의 기능과 작용 경로가 발견됐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암 및 담관암의 침습성과 전이 기전을 규명하고 예후, 진단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표적 분자와 신호 전달 경로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 연구를 통해 담관암 환자의 전이 억제... [보도자료]
0000833_1.jpg 과도한 소금섭취 막는 짠맛 수용체 발견
 발표저널 : Nature
 교신저자 : 황선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과도한 소금 섭취를 막아 인체 내 나트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과도한 짠맛을 불쾌하게 인식해 소금을 더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TMC-1' 단백질을 찾아냈고 예쁜꼬마선충을 통한 실험에서 TMC-1이 고농도의 나트륨을 감지하면 불쾌함이나 통증을 뇌신경에 전달되게 해... [보도자료]
0001870_1.jpg 바이러스로 말기간암 완치
 발표저널 : Nature Medicine
 교신저자 : 황태호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황태호 교수는 외국 학자와 함께 천연두 백신에 사용되는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암치료제를 만들었고, 최근 부산대병원은 허 정 교수의 주도로 말기암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한 결과 암종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놀라운 치료효과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0001399_1.jpg0008945_1.jpg 체내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장내미생물 발견
 발표저널 : Gut
 교신저자 : 이명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배진우 (경희대학교)
고혈당 및 체내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장내미생물이 발견되었다. 연구팀은 고지방식 섭취로 비만이 된 실험쥐에 당뇨병 환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메트포민을 투여한 뒤 장내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리고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종이 두드러지게 증가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보도자료]

icon_0012977.gif

0.62449400_1376362723.gif 국내 생명과학관련 분야 상위피인용 논문 25%가 IF 5점대 이하 [과학사회]
BRIC에서는 최근 10년(2003년∼2012년)간 국내 생명과학관련 분야 발표 논문 약 10만 4천여 편을 대상으로 피인용 횟수가 높은 논문(이하 상위피인용 논문)을 살펴본 결과 총 323편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IF 점수 구간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0점~5점 사이가 25%, 5점~10점 사이가 38%로 나타나 IF 10점 이하의 저널에서 상위피인용 대상 논문이 63%를 차지했다.
icon_0012979.gif IBS, 연구비 독점 논란과 연구그룹 선정 기준 논란 [과학사회]
과학계에서는 엄청난 지원이 50명에게 집중되는 건 부당하며, 연구단장 선정 과정이 불투명하다는 등 과학계 내부의 지적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는 대규모 투자 시기와 방식의 적절성, 연구비 분배의 원칙 등 국내 기초연구 정책 전반에 대한 논란으로 점점 확대됐다.
icon_0012980.gif
사진출처: YTN TV
과기 연구원 80% 비정규직, 비정규직 대책들 눈 가리고 아웅일 뿐 [과학사회]
과학기술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출연연구기관 비정규직의 비중은 전체 고용 인원의 약 4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가운데 일반 사무직 및 노무직을 제외한 순수 연구인력만을 따지면 8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나 비정규직 연구직 고용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icon_0012981.gif
사진출처: 헬스조선
방사능 오염공포 [보건]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산 수산물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은 국산 수산물은 물론 수산물을 재료로 만든 어육류까지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 초 후쿠시마를 비롯한 일본 8개현의 모든 수산물을 수입금지 시켰지만, 식탁을 덮친 방사능 공포는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icon_0012982.gif
사진출처: 머니투데이
셀트리온 첫 항체시밀러 '램시마' 유럽허가 획득 [생물산업]
셀트리온은 기자회견을 열고 유럽의약품청(EMA)으로 부터 존슨앤존슨의 류마티스관절염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의 최종 판매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선진국 규제기관의 판매허가를 받은 세계 최초의 항체 바이오시밀러이자 유럽의 개별국가 규제기관이 아닌 EMA의 의약품 허가절차를 통과한 최초의 국내 의약품이다.



올해의 국내 바이오뉴스 키워드를 묻는 질문에서는 ‘방사능’, ‘기초과학연구원(IBS)’, ‘비정규직’, ‘살인진드기’ 라는 답변이 많았다.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는  BRIC에서 운영하는 과학설문사이트 SciON(사이온, http://www.sci-on.net/)에서 12월 6일 ~12월 11일까지 6일간 온라인으로 생명과학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내부 자문단의 논의를 거쳐 최종 선정되었다.


BRIC은 지난 2003년부터 매년 생명과학 관련 종사자들이 참여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바이오 10대 뉴스”를 선정해 발표해 왔고, 2011년부터는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 로 확대하였다.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


자세히 보기: BRIC Special I. 2013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6544
113 빛보다 빠른물질 왜 이해할수 없는 것일까 gber20 2014-01-15 45338
112 "양자역학, 그거 먹는건가요?" image [1] heshetory 2014-01-10 36975
111 고사 성어와 4자 성어 어느것이 맞나요? mrgeem 2014-01-06 36361
» 브릭이 뽑은 '국내 의생물학 분야 2013년 올해의 뉴스' image 사이언스온 2013-12-20 65083
109 피타고라스정리에서 외계인을 발견하다 [1] gber20 2013-12-18 40590
108 인체 모든 기관을 조절하는 뇌 sanchna1 2013-11-19 35665
107 왜 힉스 힉스장 이해하기 어려운가 gber20 2013-11-01 31707
106 의식의지 충격적 비밀풀어 너무나 충격적 gber20 2013-10-07 37314
105 힉스 괴현상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gber20 2013-09-06 52768
104 힉스 초딩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방법을 찻았다 [4] gber20 2013-08-23 37439
103 뇌과학과 양자역학을 엮으며 gber20 2013-08-10 37697
102 대학원생/연구개발직(생물) 설문조사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3-07-26 31631
101 뇌과학과 평행우주론의 연관성 [2] gber20 2013-07-25 35009
100 뇌과학을 우주론과 엮는다 gber20 2013-07-16 31409
99 '과학관에서 1박2일' 과천과학관 행사 접수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3-07-15 28772
98 질량은 평행우주를 붕괴 시킨다 gber20 2013-07-01 35553
97 힉스 우주탄생의 비밀풀어 gber20 2013-06-26 32833
96 힉스입자가 암흑물질이였다 gber20 2013-06-19 31983
95 문진아카데미, 1기 수강생 모집 (과학커뮤니케이션) 사이언스온 2013-06-18 29900
94 힉스 두종류로 나타난 이유(힉스 최종 결론) [3] gber20 2013-06-08 30669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