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보도자료]

버클리대학과 공동 개발 ‘시네마’ 9월 6일 발사
궤도 진입 성공 시 우리나라 최초 초소형 인공위성으로 기록


00KHUniv.jpg


경희대학교(총장 조인원)와 미국 버클리대학교가 공동 개발한 초소형 인공위성(큐브샛, CubeSat) '시네마(CINEMA: Cubesat for Ion, Neutral, Electron and MAgnetometer - 이온/전자/중성자/자기장 측정 고성능 큐브샛) 1기‘가 9월 6일 미국 반덴버그에서 우주로 발사된다. ’시네마‘가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 우리나라 최초의 초소형 인공위성으로 기록된다.


가로 30cm 세로 10cm 높이 10cm 크기에 무게 3kg의 ‘시네마’는 발사 후 지구상공 800Km의 지구근접 우주공간에서 중성입자의 분포를 측정하고, 지구자기장의 변화를 관측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경희대 대 대학원 WCU팀 연구원들은 우주환경 변화 및 공간물리 현상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경희대학교는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사업인 ‘달궤도 우주탐사’ 연구사업(책임자: 경희대학교 대학원 WCU 우주탐사학과 이동훈 교수)에 선정되어, 2009년부터 초소형 인공위성 개발을 시작했다. 초기에 인공위성 2기를 개발한 후, 이어 미국 버클리대학과 함께 추가 1기를 공동 개발하여 총 3기를 개발·제작했다. ‘시네마’에 장착된 자기장 측정기 제공 및 연구는 영국 임페리얼 대학과 함께 진행됐다. 총 3기로 개발된 ‘시네마’는 9월에 이어 11월 20일에 러시아 야스니에서 2기와 3기가 추가로 발사될 계획이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우주탐사학과 선종호 교수는 “초소형 인공위성은 개발에서 제작, 발사에 소요되는 비용이 기존 인공위성의 0.1%밖에 들지 않기 때문에 이미 여러 나라에서도 연구 개발 및 실험을 위한 교육용 인공위성으로 제작하고 있는 경우는 많다. 그러나 ‘시네마’는 위성체 자체의 기술 개발과 더불어 본격적인 과학임무 수행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질적인 우주탐사용 인공위성이라는 점에서 다른 나라의 초소형 인공위성들과 차별화 된다.” 며 시네마 발사의 의의를 밝혔다.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6059
73 과학 강연기부 '10월의 하늘' 27일 개최 imagefile water77 2012-10-19 43860
72 비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않나요? imagefile ph1942 2012-10-15 40146
71 BRIC 이용자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예측 100% 적중 image water77 2012-10-09 40981
70 최근 5년 논문 추이를 주제어 검색으로 본다 imagefile water77 2012-09-25 63589
69 [알림] 2차 타운미팅 결과 보고 확인해보세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9-24 31564
68 미술, 과학을 그리다 imagefile jjangia7 2012-09-14 35266
67 [초대] 2차 타운미팅, 22일 한겨레 청암홀에서 만나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9-14 34574
66 "나로호 3차발사, 내달 26~31일 추진' -교과부 water77 2012-09-11 28754
65 외계인(UFO) 올수도 있다 gber20 2012-09-10 28204
64 '쓰레기 DNA'의 재발견 사이언스온 2012-09-07 29629
63 ‘꿈꾸는 과학’ 14기 신입회원을 모집합니다 guk8415 2012-09-04 30523
62 2012 과학기술인 토론의날 - 관심 있는 분들 함께 해요! imagefile jjang84 2012-09-04 42530
» 초소형 인공위성 이용한 우주탐사 국내 첫 시도 imagefile water77 2012-09-03 35671
60 [이벤트] 2012년 노벨 생의학-화학상 수상자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9-03 40564
59 파란 하늘 보고파 imagefile [1] rarabok 2012-08-30 29509
58 달에 첫 발자국 남기고 여든둘에 지구서 잠들다 imagefile ph1942 2012-08-27 30761
57 새로운 물리학의 발견이다 gber20 2012-08-23 30021
56 물리학계의 최대의 위기상황 [3] gber20 2012-08-17 30720
55 [알림] 1차 타운미팅 결과 보고 확인해보세요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2-08-13 43038
54 상대론과 양자역학의 격돌을 보는것같다 [1] gber20 2012-08-12 33980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