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보도자료
주제어 검색으로 의생명과학 연구동향 파악해주는 '미스터 큐 리포트' 사이트 개설
연구제안서를 작성하다 보면 늘 부닥치는 어려움 중에 하나가 해당 분야 동향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에서는 논문발표 분석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동향을 알 수 있는 웹사이트(Mr. Q Report: http://mrqreport.kobic.re.kr )를 구축하여 9월 23일부터 베타-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논문은 연구비와 연구인력 그리고 학술활동 등의 결과가 함축된 것으로 연구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이런 점을 착안해서 연구개발 분야와 관련된 핵심 검색어를 통해 분야의 동향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검색결과는 최근 5년간 국내외 논문 발표 수와 비율, 국내 주요 연구 단체별 발표 실적, 평균인용지수 변화, 주요 10개국의 논문 발표 수와 검색어의 상대적인 비중(검색어 결과/국가별 전체 논문 수), 주요 연구자, 주요 관련 키워드, 발표 저널, 관련 논문, 그리고 국내에서 발표된 검색어 관련 리뷰나 인용지수 10 이상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사용자가 직접 검색할 수 없지만 자체에서 만든 카테고리별로 주요 검색어를 분류하여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Request" 나 “게시판”을 통해 원하는 검색어를 올리면 1시간 이내(업무 시간: 오전 9시~오후 6시)에 결과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검색결과를 보면 일부 흥미로운 내용을 볼 수 있다.
첫째, 아시아권에서 많이 발생하는 위암, 'Gastric cancer' 의 경우 국가별로 상대적인 비중(검색어 논문 수/전체논문 수)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일본, 중국 그리고 대만 순으로 나타나 아시아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으로 연구가 진행됨을 볼 수 있다. 두번째, 최근 환경 문제와 바이오 에너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조류(Algae)는 부경대학, 제주대, 그리고 한국해양얀구원 순으로 논문을 많이 발표한 것으로 나타나 특정 분야의 경우 전문 연구시설이나 지리적인 원인으로 연구논문 발표가 편중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명박 정부의 핵심 연구 개발분야중에 하나인 청정기술, Green technology는 최근 많은 논문이 발표되고 있는데,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연구활동이 눈에 뛴다.
향후 분석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색이 가능한 체계로 개발할 계획이고, 현재는 매년 1월 첫 주에 익년의 결과를 업데이트할 계획이지만 필요할 경우 분기별 혹은 상하반기로 나누어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그리고 관련 검색어를 모아 상위의 소분야 혹은 중분야 전체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거시적인 동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특정 목적으로 다수의 검색 비교나 통합한 결과에 대한 요구가 있으면 맞춤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 |||
* (주) 본 자료는 의학/생명과학 분야 대표 문헌 정보데이터베이스인 펍매드(PubMed)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결과 값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동일한 기준을 적용시켜 얻은 상대적인 수치다.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Korean Bioinformation Center, KOBIC: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http://www.kobic.re.kr )은 국가적으로 중요성이 커지는 생물정보, 생명자원, 다양성정보의 원활한 수집, 분석, 유통체제 구축을 위하여 국내외 유전체관련 연구주체들 간의 유기적 협력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통합DB 및 정보분석시스템 제공 등의 공동활용 인프라를 제공하여 국내 생명정보 연구분야의 중심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