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에도 12시간 생체리듬 따로 있다”

※ 이 글은 한겨레 6월14일치 ‘사이언스온’ 지면에 실렸습니다. 온라인 사이언스온에도 옮겨 싣습니다.



clock_wikimedia.jpg » 시계. 출처/ Wikimedia Commons 리 몸엔 낮과 밤의 24시간 주기에 맞춰 반응하는 생체리듬이 있다. 이런 주기와 관련된 유전자들은 생체시계 유전자로 불리는데 그동안 생체시계 유전자도 여럿 발견됐다. 그런데 포유류 동물에 24시간 주기 말고 12시간 주기의 생체시계가 따로 자율로 돌아간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베일러 의과대학 등의 연구진(책임연구 버트 오맬리)은 실험용 쥐의 간세포에서 12시간 생체리듬을 보이는 유전자 3600여개를 찾아냈으며 이 가운데 특정 유전자(‘XBP1’)가 생체리듬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과학저널 <셀 메타볼리즘>에서 밝혔다.


연구진은 12시간 생체리듬이 존재한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여럿 있었다고 전했다. 사람의 체온, 혈압, 호르몬 순환, 인지 능력 등에 12시간 주기가 있다는 보고들이 제시됐으나 생물학적 근거가 명확히 규명되지는 못했다고 한다. 이번 연구진은 쥐의 간세포에서 12시간 주기 유전자들을 다수 찾아냈으며 더 나아가 12시간 생체시계가 24시간 생체시계와 무관하게 자율로 돌아감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실험용 쥐에서 24시간 주기를 관장하는 핵심 유전자의 기능을 없앴는데도 12시간 생체시계는 여전히 정상 기능을 했다고 밝혔다.


Abludomelita_obtusata2.jpg » 바다생물에는 조류에 맞춘 12시간 생체리듬이 있다. ​포유류에도 24시간 주기 말고 12시간 주기의 생체리듬이 따로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바다생물 갑각류의 한 종류. 위키미디어 코먼스연구진은 12시간 생체리듬이 깨지면 스트레스 조절이나 약물 반응 등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24시간 주기와는 별개로 12시간 생체리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4시간 생체리듬이 해가 뜨고 지는 낮과 밤의 주기에 맞춘 것이라면, 12시간 생체리듬은 어디에서 비롯했을까? 연구진은 그것이 12시간마다 되풀이되는 밀물·썰물의 조류에서 비롯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전에도 연안 바다생물에 12시간 생체리듬이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는데, 이번 연구에서도 12시간 주기 조절 유전자가 포유류와 예쁜꼬마선충뿐 아니라 바다생물인 갑각류에도 보존되어 있음이 확인됐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사이언스온의 길목]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scienceon
트위터   https://twitter.com/SciON_hani
한겨레 스페셜   http://special.hani.co.kr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오철우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기자, 사이언스온 운영
1990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편집부, 사회부, 문화부, 생활과학부 등을 거쳤으며 주로 과학담당 기자로 일했다. <과학의 수사학>, <과학의 언어>, <온도계의 철학> 등을 번역했으며, <갈릴레오의 두 우주체제에 관한 대화>를 썼다.
이메일 : cheolwoo@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

    뉴스사이언스온 | 2017. 12. 11

    미래/과학/기술/환경 뉴스와 비평, 연재물 서비스사이언스온 옛 글들은 지금처럼 접근 가능합니다 독자님들께안녕하세요. 그동안 작은 도전이었던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의 필자들을 격려해주시고 또 웹진을 사랑해주신 모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

  • “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

    뉴스오철우 | 2017. 11. 07

    특정 언어사용패턴과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발현 사이에 ‘상관성’“무의식적 언어패턴이 의식적 자가보고보다 측정정확도 더 높아” 일상언어 사용의 패턴이 말하는 이 자신도 잘 모르는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

  • 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

    뉴스오철우 | 2017. 11. 07

    ※ 이 글은 한겨레 11월6치 '미래&과학' 섹션 지면에 실렸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분량을 줄이기 이전 원고를 사이언스온에 올립니다.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꿔치기[미래&과학] 주목받는...

  • ‘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

    뉴스오철우 | 2017. 11. 03

    수학적 모형 분석 논문 ‘눈길’세포간 경쟁과 선택, 노화와 암의 ‘딜레마’ 같은 상호관계 다뤄‘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노화를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노화를 일정 정도 늦출 순 있어도 멈출 순 없다는 ...

  • 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

    뉴스오철우 | 2017. 10. 26

    시토신-구아닌 쌍을 티민-아데닌 쌍으로 ‘점 수정’ 이어아데닌-티민 쌍을 구아닌-시토닌 쌍으로 수정기법 개발하버드대학 리우 교수와 MIT 펑 장 교수 각각 성과 발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디엔에이(DNA) 두 가닥을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