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년 전 아기새 품은 호박 화석 발견

미얀마 북부서 발견한 작은 주먹 크기

멸종한 ‘역조’, 갓 부화해 호박에 갇혀


00amberBird4.jpg » 아기 새가 갇힌 채로 발견된, 1억 년 된 호박 화석, 그리고 아기 새의 모습을 묘사한 그림.. 출처/ Lida Xing & Gondwana Research (변형)


석으로 분류되는 ‘호박(琥珀, amber)’은 송진 같은 나무의 진이 덩어리로 뭉쳐 수천만 년 동안 딱딱해진 화석이다. 나무 송진에는 간혹 숲속에 살던 곤충들이나 식물, 때로는 동물 몸 일부가 담겨, 멀게는 공룡이 살던 시절의 생물 모습을 전해주기도 한다.


최근에는 부화한 지 얼마 안 된 아기 새가 상당히 온전한 모습으로 담긴 1억 년 전의 호박 화석이 발견됐다. 중국지구과학대학(China University of Geoscience) 소속 고생물학자 리다 싱(Lida Xing)의 연구진은 미얀마 북부에서 수집돼 중국의 한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던 대략 86 × 30 × 57 ㎜크기(무게 78.16g)의 호박에서 매우 온전한 모습으로 보존된 아기 새를 발견했다며 호박 화석 속의 새를 관찰,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지구과학 분야 국제저널인 <곤드와나 리서치(Gondwana Research)>의 최근호에 실렸다.(‘곤드와나’는 고생대 말에 남반구에 있었다고 여겨지는 가설적인 초대륙)


00amberBird3.jpg » 1억 년 된 호박 속에 있는 아기 새의 모습을 복원한 그림. 갓 부화했다가 호박에 갇혔을 텐데도 어린 새의 날개 쪽 깃털은 상당히 발달해 있다. 출처/ New Scientist, 복원도 Cheung Chung Tat


연구진이 밝힌 호박 속의 아기 새 모습을 보면, 새는 머리, 목, 날개, 꼬리, 발톱, 깃털 등이 상당히 온전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부화한 지 며칠 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이 새는 어깨의 관절 구조가 현생 조류의 것과는 상반되어 멸종해 지금은 없는 이른바 ‘역조(opposite bird)’의 일종인 것으로 분류됐다. 현생 조류와는 달리 부화할 때 날개 깃털은 발달되어 있으나 몸의 깃털은 많지 않은 것으로 관찰됐다.


호박 속에서는 아기 새의 날카로운 발톱 모습이 선명하게 드러났다.

00amberBird22.jpg » 호박 속에서 발견된 아기 새의 발톱. 출처/ Lida Xing

 

영화 <쥐라기공원>에서는 호박에 갇힌 공룡시대 모기에서 디엔에이로 뽑아내어 공룡을 복원했다고 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호박 속의 아기 새에서는 보존된 디엔에이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과학매체 <뉴사이언티스트>는 보도했다.


고생물학자 리다 싱의 연구진은 호박 화석 분야에서 최근 들어 흥미로운 발견을 잇따라 보고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새 깃털 날개가 보존된 9900만 년 전 호박 화석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보고했으며, 지난해 12월엔 깃털 달린 공룡 꼬리가 담긴 9900만 년 전 호박 화석의 연구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논문 요점(Highlight)

- 우리는 호박 안에서 두개골과 목 대부분, 날개와 뒷날개 일부, 그리고 꼬리의 연조직을 담고 있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에서 매우 완벽하게 보존된 새를 보고한다. 그 형태는 이 표본이 에난티오르니테스(Enantiornithes)임을 말해준다.
- 새 몸체의 비율과 깃털의 형태는 이것이 아주 어린 개체임을 보여준다. 또한 에난티오르니테스가 부화 뒤 곧 상당히 독립된 활동을 할 수 있으며(highly precocial), 그러나 몸 깃털이 적다는 점은 부화 직후 독립 활동을 하는 현생 조류와는 차별점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제공해준다. [...]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사이언스온의 길목]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scienceon

트위터   https://twitter.com/SciON_hani

한겨레 스페셜   http://special.hani.co.kr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태그 : 호박, 역조, 화석,
오철우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기자, 사이언스온 운영
1990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편집부, 사회부, 문화부, 생활과학부 등을 거쳤으며 주로 과학담당 기자로 일했다. <과학의 수사학>, <과학의 언어>, <온도계의 철학> 등을 번역했으며, <갈릴레오의 두 우주체제에 관한 대화>를 썼다.
이메일 : cheolwoo@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

    뉴스사이언스온 | 2017. 12. 11

    미래/과학/기술/환경 뉴스와 비평, 연재물 서비스사이언스온 옛 글들은 지금처럼 접근 가능합니다 독자님들께안녕하세요. 그동안 작은 도전이었던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의 필자들을 격려해주시고 또 웹진을 사랑해주신 모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

  • “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

    뉴스오철우 | 2017. 11. 07

    특정 언어사용패턴과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발현 사이에 ‘상관성’“무의식적 언어패턴이 의식적 자가보고보다 측정정확도 더 높아” 일상언어 사용의 패턴이 말하는 이 자신도 잘 모르는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

  • 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

    뉴스오철우 | 2017. 11. 07

    ※ 이 글은 한겨레 11월6치 '미래&과학' 섹션 지면에 실렸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분량을 줄이기 이전 원고를 사이언스온에 올립니다.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꿔치기[미래&과학] 주목받는...

  • ‘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

    뉴스오철우 | 2017. 11. 03

    수학적 모형 분석 논문 ‘눈길’세포간 경쟁과 선택, 노화와 암의 ‘딜레마’ 같은 상호관계 다뤄‘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노화를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노화를 일정 정도 늦출 순 있어도 멈출 순 없다는 ...

  • 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

    뉴스오철우 | 2017. 10. 26

    시토신-구아닌 쌍을 티민-아데닌 쌍으로 ‘점 수정’ 이어아데닌-티민 쌍을 구아닌-시토닌 쌍으로 수정기법 개발하버드대학 리우 교수와 MIT 펑 장 교수 각각 성과 발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디엔에이(DNA) 두 가닥을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