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닮은 거대 바이러스, 제4생명인가? 유전자 도둑인가?

※ 이 글은 한겨레 4월19일치 ‘사이언스온’ 지면에 실렸습니다. 온라인 사이언스온에도 옮겨 싣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


_illustration.jpg


세포 닮은 거대 바이러스

제4생명? 유전자 도둑?


   잇단 발견에 정체 수수께끼  


최근 발견된 클로스뉴바이러스

유전자가 1500개나 되고

단백질 만드는 유전자 세트도

 

2003년  ‘미미바이러스’가 처음

2013~2015년에도 3건 확인

 

정체에 대한 지금까지 가설은

“멸종된 원시조상 계통에서 진화

세균-고세균-진핵생물 외 새 영역”

 

이번 발견으로 새로운 가설 등장

“단일 생물체서 유래한 유전자 아니라

여러 숙주 생물에서 훔쳐와 간직”


‘단백질 합성 시스템도 없는데 왜?’

풀어야 할 숙제는 여전히



“생물 특성을 지닌 바이러스라니! 처음엔 믿기지 않는 일이었죠. 우리가 발견한 게 바이러스라는 분명한 증거를 더 보충하라는 요구를 많이 받았고요. 그래서 갖가지 입증 자료를 갖춰서 발표하게 됐지요.”


00virus.jpg » 다양한 크기, 형태의 여러 바이러스들. 왼쪽의 작은 것들은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박테리오파지, 에볼라 바이러스, 에이즈 바이러스이며 오른쪽의 큰 것은 거대 바이러스인 항아리 모양의 피토바이러스.. 미국 아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학교 제공 ‘세포생물 닮은 거대 바이러스’를 발견해 최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한 국제 공동연구진의 이태권 연세대 교수(원주캠퍼스 환경공학과)는 “애초 하수처리장에 사는 특정 박테리아를 찾는 연구를 하다가 우연히 얻은 뜻밖의 발견”이라고 말했다. 인플루엔자나 지카 같은 바이러스가 10개 안팎 유전자를 지닐 뿐인데, 연구진이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찾아낸 ‘클로스뉴바이러스’는 무려 1500여 개 유전자를 지니고 있었다. 게다가 세포생물처럼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세트도 거의 다 갖추고 있었다. 세상에! “몸집도 커서 좋은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인 0.3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나 됐죠.”


현대 생물학이 아는 바이러스는 생명체 자격에 한참 모자라는 최소 유전자만 지녀 스스로 증식하지도 못하면서 세포생물에 감염해 그 단백질 합성 공장과 복제 시스템을 이용해 증식할 뿐이다. 그런데 큰 몸집에다 세포생물 닮은 유전자들을 다량으로 갖추고 있는 이른바 ‘거대 바이러스’(자이언트 바이러스)가 점차 생물학계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는 모양이다. 지난 2003년에 첫 번째로 ‘미미바이러스’가 보고된 이래 거대 바이러스의 발견 소식도 잇따르고 있다. 아직 정체가 다 규명되지 못한 거대 바이러스는 생명의 분류 개념조차 바꿀지 모를 수수께끼의 존재로 등장하고 있다.


[사이언스온에 실린 ‘거대 바이러스’ 관련 글들]


“바이러스도 생물체로 봐야”…첫 진화계통도 등장

    http://scienceon.hani.co.kr/325288

시베리아 영구동토에서 ‘거대 바이러스’ 또 발견

    http://scienceon.hani.co.kr/319123

3만년 된 영구동토에서 되살아난 거대 바이러스

    http://scienceon.hani.co.kr/151519

  대형 바이러스 '판도라' 발견, 최대 크기 기록

    http://scienceon.hani.co.kr/114209



처음엔 독특한 박테리아 정도로

00dot.jpg

table3.jpg 전에 없던 존재가 처음 발견될 땐 곧잘 착시의 과정을 거친다. 미미바이러스가 그랬다. 애초 미미바이러스는 1992년 영국의 냉각탑에서 일찌감치 검출됐지만 처음엔 단세포 아메바에 기생하는 독특한 박테리아 정도로 이해됐다. 정밀한 분석 기술이 등장하고 나서 11년 뒤인 2003년에야, 프랑스 연구진은 이것이 박테리아가 아니라 거대한 몸집의 바이러스라는 사실을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한 장짜리 짧은 논문에서 밝혔다.


‘박테리아를 닮았다(mimick)’는 뜻에서 미미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은 최초의 거대 바이러스는 지름이 400나노미터나 됐으며 특히 유전체(게놈)는 100만 염기쌍을 넘는 규모에다 웬만한 기생 박테리아보다 많은 유전자(1018개)를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에 거대 바이러스의 목록에는 새로운 발견과 여러 이름들이 더해졌다. 2013년에는 칠레와 오스트레일리아의 해안과 호수에서 미미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큰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놀라움의 의미를 담아 판도라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판도라바이러스라는 이름은 이전에 알려진 미생물과 비슷함이 없다는, 그리고 앞으로 이 바이러스 연구에서 나올 놀라움의 의미를 담았다”고 전했다.


2014년과 2015년엔 러시아 시베리아의 3만년 된 영구동토에서 되살려낸 거대 바이러스로 ‘피토바이러스’와 ‘몰리바이러스’가 잇따라 보고됐다.



새로운 분류 체계도 선보여

00dot.jpg

지금껏 몰랐던 거대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게 점점 분명해지면서 그 정체와 관련해 여러 물음이 제기됐다. 대체 거대 바이러스는 생물의 기나긴 진화의 역사 중 어디에서 유래한 걸까? 바이러스와 생물의 중간자처럼 보이는, 그래서 생물 아닌 바이러스와 생물인 세포생물의 경계를 흐릿하게 하는 이들의 정체는 무얼까? 이와 관련해 지금까지 대체로 다음 가설이 주목을 받았다.


00virus_treeoflife.jpg » 바이러스와 세포생물을 한 데 넣은 생물진화 계통도. 12시 방향 쪽에 거대 바이러스들이 놓여 있다.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학 연구진 제공 즉, 먼 옛날에 멸종하고 지금은 없는, 세포 닮은 어떤 원시조상의 계통에서 거대 바이러스가 이어져 진화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거대 바이러스를 발견한 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학의 장미셸 클라베리 교수 연구진은 “제4의 생명영역” 가설을 주장하고 있다. 생물학은 지상의 모든 생물을 ‘박테리아(세균)’, ‘고세균’, 그리고 동식물이 포함되는 ‘진핵생물’이라는 3대 영역으로 나누는데, 여기에 지금껏 몰랐던 제4의 생명영역을 추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거대 바이러스의 잇단 발견에 힘입어 지상 생물의 진화 계통도에다 바이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새로운 분석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2015년 미국 일리노이대학 연구진은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바이러스와 세포생물 진화의 역사를 하나의 그림에다 담은 분류 체계도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이제는 생명의 분류 개념을 바꾸자는 제안이다.


과연 지상 생명계는 생물학의 현행 분류체계가 다 담지 못하는 또다른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걸까?



“예외적이 아니라 흔한 존재로”

00dot.jpg

이번에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 ‘클로스뉴바이러스’는 이런 ‘제4의 생물영역’ 가설에 찬물을 끼얹었다. 거대 바이러스는 생명의 역사에서 사라진 어떤 원시조상에서 유래한 존재가 아니라, 일부 바이러스가 숙주인 아메바 같은 단세포 진핵생물의 유전자를 훔쳐와 점점 몸집을 키우며 진화한 결과일 뿐이라는 것이다.


GiantVirus_schulz3.gif » 여러 숙주 감염을 거쳐 숙주 유전자를 훔쳐 오면서 몸집을 점점 키우는 거대 바이러스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미국 에너지부 산하 게놈연구소(JGI) 제공

연구진은 무려 1500개에 달하는 클로스뉴바이러스의 유전자를 분석하다보니 그것들이 숙주한테서 훔쳐 온 유전자일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태권 교수는 “클로스뉴바이러스의 유전자들이 어떤 단일한 생물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숙주 생물에서 가져온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애초엔 몸집이 작은 바이러스의 일종이었지만 여기저기에서 훔쳐 와 간직한 유전자의 규모가 커지면서 거대 바이러스로 점점 진화했으리라는 가설이다.


그동안 제시돼 왔던 제4의 생명영역 가설의 지지자들은 이런 설명을 반박하고 있어, 거대 바이러스의 기원에 관해서는 당분간 논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유전자 탈취’ 가설을 받아들이더라도 여전히 물음은 남아 있다. 기생 생물체는 흔히 몸집을 점차 줄이면서 진화해왔는데, 거대 바이러스는 기생체이면서도 오히려 몸집을 일부러 키운 이유는 무얼까? 특히나 단백질을 만드는 합성공장 시스템을 제 몸에 갖추지도 못했으면서 거대 바이러스는 왜 구태여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생물의 유전자 세트를 훔쳐 와 간직하고 있는 걸까?


거대 바이러스의 존재는 분명해지고 있지만 그 정체를 둘러싸고는 오히려 수수께끼들이 더 많아지고 있다. 이태권 교수는 “이번 연구에선 클로스뉴바이러스 외에도 3종의 거대 바이러스가 더 발견됐다”면서 “거대 바이러스는 예외적인 존재가 아니라 우리 주변에 훨씬 더 흔하게 존재하리라고 여겨진다”고 말했다. 클로스뉴바이러스를 발견한 연구진은 연구성과 발표자료에서 “거대 바이러스의 유전체 규모 신기록도 곧 경신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리는 앞으로 거대 바이러스의 진짜 거대한 세계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주/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사이언스온의 길목]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scienceon

트위터   https://twitter.com/SciON_hani

한겨레 스페셜   http://special.hani.co.kr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오철우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기자, 사이언스온 운영
1990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편집부, 사회부, 문화부, 생활과학부 등을 거쳤으며 주로 과학담당 기자로 일했다. <과학의 수사학>, <과학의 언어>, <온도계의 철학> 등을 번역했으며, <갈릴레오의 두 우주체제에 관한 대화>를 썼다.
이메일 : cheolwoo@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

    뉴스사이언스온 | 2017. 12. 11

    미래/과학/기술/환경 뉴스와 비평, 연재물 서비스사이언스온 옛 글들은 지금처럼 접근 가능합니다 독자님들께안녕하세요. 그동안 작은 도전이었던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의 필자들을 격려해주시고 또 웹진을 사랑해주신 모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

  • “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

    뉴스오철우 | 2017. 11. 07

    특정 언어사용패턴과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발현 사이에 ‘상관성’“무의식적 언어패턴이 의식적 자가보고보다 측정정확도 더 높아” 일상언어 사용의 패턴이 말하는 이 자신도 잘 모르는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

  • 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

    뉴스오철우 | 2017. 11. 07

    ※ 이 글은 한겨레 11월6치 '미래&과학' 섹션 지면에 실렸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분량을 줄이기 이전 원고를 사이언스온에 올립니다.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꿔치기[미래&과학] 주목받는...

  • ‘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

    뉴스오철우 | 2017. 11. 03

    수학적 모형 분석 논문 ‘눈길’세포간 경쟁과 선택, 노화와 암의 ‘딜레마’ 같은 상호관계 다뤄‘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노화를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노화를 일정 정도 늦출 순 있어도 멈출 순 없다는 ...

  • 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

    뉴스오철우 | 2017. 10. 26

    시토신-구아닌 쌍을 티민-아데닌 쌍으로 ‘점 수정’ 이어아데닌-티민 쌍을 구아닌-시토닌 쌍으로 수정기법 개발하버드대학 리우 교수와 MIT 펑 장 교수 각각 성과 발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디엔에이(DNA) 두 가닥을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