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터뷰: '만화'논문, 과학저널에 싣는 정민석 교수
해부학 4칸 만화 '해랑 선생의 일기' 다룬 논문, 국제학술지에 곧 게재
'꽉 선생의 일기' 과학만화 영어판 제작해 세계무대에서 겨뤄보고싶어
“글쎄요, 만화와 과학의 다른 점은, 과학은 부풀리지 않고 만화는 부풀린다는 점 아닐까요. 하지만 둘 다 객관적입니다. 과학은 업적이 훌륭한지 아닌지 뚜렷하고, 만화는 사람을 즐겁게 하는지 아닌지 뚜렷하잖아요.”
난해하고 딱딱할 법한 과학의 세계에도, 연구 현장의 농담과 정담을 담는 만화가 또 하나의 소통 매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만화 그리는 해부학자인 정민석 아주대 교수(해부학교실)는 24일 “그려온 해부학 만화를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한 학술논문이 과학인용확장지수(SCIE) 목록에 오른 국제 학술지인 <해부 과학 교육(ASE)>에 정식 논문으로 채택돼 곧 실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논문은 정 교수가 연구현장에서 겪거나 들은 에피소드에다 해부학 지식을 담아 그린 만화 ‘해랑 선생의 일기’를 주로 다뤘다. 연구 보고서나 논문을 싣는 과학저널에 만화를 다룬 논문이 실리는 일은 이례적이다.
그는 지난 20일 대한체질인류학회 학술대회에서는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 온>에 연재 중인 과학 만평 ‘꽉 선생의 일기’의 창작 과정을 주제로 발표하기도 했다. 이 만평은 지난해 2월 시작해 60편을 넘어섰다. 그는 “과학인이 서로 이해하고 일반인이 과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하며 과학인이 겪고 느끼는 것을 만화로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왜 과학계에서 대중문화 매체인 만화에 관심을 보일까? 그는 “미국에선 흔히 좋은 연구를 칭찬할 때 ‘재미있다(funny)’라는 말을 쓰듯이 과학은 재미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만화가 그런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웃음을 자아내는 과장을 하기 때문에 과학 만평이 독자들한테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는 그는 “부풀릴 수밖에 없는 만화 매체의 성격을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12년째 만화를 그리는 정 교수는 연재 중인 과학 만화를 책으로 펴낸 뒤 영어로 번역해 미국에서도 정식 출판할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그는 “영어권 과학계에서 대학원생들의 일상을 그려 널리 알려진 만화(PhD Comics)와 한번 겨루고 싶다”는 꿈을 밝히기도 했다.
[일문일답]
▶ 과학계에서 만화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미국에서는 좋은 연구를 칭찬할 때 재미있다(funny)라는 말을 쓴다. 과학은 재미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과학계에서는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재미있는 과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 같다. 과학인용색인 학술지(<해부학 과학 교육>, Anatomical Sciences Education, 격월간)에서도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내 만화 논문("Anatomy Comic Strips")을 받아 준 것으로 보인다. 어떤 조사에서는 초중고등 학생한테 과학을 가르치면서 과학 만화를 보여 준 다음에 반응을 살폈다. 그랬더니 학생이 과학에 흥미를 느끼면서, 더 많은 지식과 정보를 찾았다. 또한 과학 만화를 주제로 토론하며서,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능력이 좋아졌다. 이처럼 만화는 과학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다. 실제로 나도 만화를 그린 다음부터 논문을 쓰는 솜씨가 좋아졌다.
▶ 만화의 정신과 과학의 정신은 어떻게 다르고 또 어떤 점이 일맥상통할까요?
다른 점이라면... 과학은 부풀리지 않고, 만화는 부풀린다. 과학인이 부풀리면 사기꾼이 되고, 만화가가 부풀리지 않으면 바보가 된다. 같은 점이라면, 둘 다 객관적이다. 인문사회와 달리 과학은 업적이 훌륭한지 아닌지가 뚜렷하고요, 다른 예술과 달리 만화는 사람을 즐겁게 하는지 아닌지가 뚜렷하다.
▶ 향후 계획을 다시 간략히 말씀해주신다면.
지금까지 과학 만화(꽉 선생의 일기) 150편을 그려놓았는데, 150편을 더 그리면 책을 펴낼 계획이다. 이미 그린 150편 중에서 120편(80%)를 영어로 번역하고 있다. 번역이 끝나면 인터넷으로 퍼뜨려서 (영어권 과학 만화인) PhD Comics와 겨루고 싶다. 또한 미국의 출판사를 통해서 영어 책을 펴내고 싶다. 한국의 코메디 연기는 외국에 수출하기 어려워도, 한국의 코메디 만화는 외국에 수출할 수 있다고 본다. 과학 만화를 갖고 한류를 만드는 것이 나의 작지만 큰 꿈이다.
▶ 한국 과학계에도 만화가 숨쉴 공간은 필요한가요?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나는 과학인이면서도 TV 과학 프로그램을 잘 안 본다. 까닭의 하나는 웃기지 않기 때문이다. TV 드라마에 웃기는 장면이 있듯이, 과학 프로그램에도 웃기는 장면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 만화가 그것을 위한 콘텐츠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과학 만화는 플래쉬, 에디메이션 등의 다른 장르로 얼마든지 발전할 수 있다.
▶ 사람들이 농담과 진담을 구분하지 않아 만화가 욕을 많이 얻어먹는다는 말씀을 자주 하시는데 실제로는?
부풀리는 것 때문에 오해를 한다. 보기를 들어서, 과학인은 통계학을 자기한테 유리하게 쓰며, 따라서 통계학은 귀걸이, 코걸이와 같다고 만화에 그렸다. 그랬더니 통계학을 전공하는 분이 통계학을 업신여겼다고 따졌다. 만화는 뭐든지 부풀려서 그려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 주면 좋겠다. 또 야한 내용 때문에 제 만화는 성희롱 재료라는 비난을 받은 적도 있고 어린이한테 해로운 만화를 회원 가입의 절차도 없이 보게 한다고 지적한 분도 계셨다. 그렇지만 크게 욕먹은 적은 없다. 아직 내 만화가 유명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다. 또는 내가 교수로서 내 분야의 만화를 주로 그리기 때문에 봐 주는지도 모르겠다.
▶ 만화 그리면서 겪은 에피소드가 있다면 한두 가지만...
에피소드...라기보다는 내가 생각한 것을 두 가지 소개한다. 만화 소재는 주로 놀면서 얻는다. 혼자 여행을 다니거나 함께 맥주를 마시면서 소재를 얻는다. 많이 놀수록 좋은 소재를 얻게 된다. 그래서 나는 놀 때에도 떳떳하다. 같은 학교(아주대학교 의과대학)에 있는 이국종 선생을 보면서 느낀 것이 있다. 이국종 선생은 얼굴이 알려져서 나쁜 짓을 못하고, 그래서 불편하다. 나는 얼굴이 없는 만화가로 남을 생각이다. 특히 TV에는 출연하지 않으려고 한다, 불러 주지도 않지만.... 나만의 신비주의 철학이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