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리한 강행이 화 불렀나.. 1단로켓 결함 가능성

나로호 왜 실패?

발사체 기립·기상조건 등 최적 아닌 상황서 강행


    00naro4 » 한겨레 자료그림

 


[고흥 현지취재] 나로호가 발사 2분여 만에 폭발해 추락했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명확한 원인 분석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 이주진 항우연 원장은 10일 저녁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언론과의 일문일답에서 “나로호 상단 위아래에 설치한 2대의 카메라를 통해 1단 연소 구간에서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할 뿐 정확한 원인을 찾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1단 로켓의 이상 가능성

나로호는 발사 뒤 3분49초(229초)에 1단 엔진 정지 명령을 받게 돼 있어 폭발이 일어난 137.19초 때는 1단 연료가 계속 연소되고 있는 상태였다. 지난해 8월 1차 발사 실패의 원인인 페어링이 분리되는 3분35초(215초)보다 훨씬 이전이어서, 1단 로켓의 결함이 사고 원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 원장은 하루 전인 9일 오후 소화장치의 오작동으로 분출된 100t의 소화용액 일부가 1단 엔진에 들어가 완전연소가 일어나면서 폭발한 것 아니냐는 추측에 대해서는 “소화장치는 원인을 찾아내 조처한 뒤 러시아와 완벽한 점검을 마친 상태여서 폭발사고와는연관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나로호 1차 시도 때는 발사체가 수직으로 올라가다 태평양 쪽으로 돌아가는 ‘회피기동’을 한 반면 이번에는 수직으로만 올라간 것이 사고와 연관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회피기동은 각도만 달랐을 뿐 올해도 정상적으로 이뤄졌다”고 답변했다. 이날 발사 실패 뒤 한국과 러시아 양국 전문가들은 곧바로 회의를 열어 사고 원인에 대해 논의했지만, 구체적인 데이터들이 확보되지 않아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나라 기술진은 나로호가 폭발한 뒤 공해상으로 떨어진 것으로 확인하고 잔해를 수거하기 위해 명확한 좌표를 찾고 있다고 항우연 관계자는 전했다.


결국 나로호의 실패 원인은 전문가들이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뤄진 137초까지의 각종 수신 데이터와 카메라에 담긴 영상 등을 토대로 분석을 한 뒤에야 나올 것으로 보여,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무리한 강행이 화 불렀나?

나로호의 실패는 기술적 결함이 직접 원인이겠지만 교육과학기술부와 항우연이 발사체 기립 지연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했음에도 무리하게 발사를 밀어붙인 것도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항우연은 지난 7일 발사체 기립 과정에 불안정한 전기신호가 발견됐는 데도 기립을 강행했다. 이미 반나절 이상 일정에 차질이 빚어졌지만, 다음날인 8일 발사 모의연습(리허설)을 그대로 진행했다. 9일에는 소화장치 오작동으로 소화용액이 분출돼 발사 운용이 중단됐음에도 명확한 원인을 밝히기보다 관련 부품들을 통째로 교체하고 10일 발사를 강행했다. 또 10일 오전에도 나로우주센터 상공에 구름이 많이 끼는 등 기상상황이 최적 상태가 아님에도 공군 비행기까지 동원해가며 발사를 추진했다.


연구원들이 잇따른 밤샘작업으로 지칠대로 지쳐 있는 상태인데도 발사가 강행돼‘다른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마저 낳고 있다. 실제로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참관 여부가 확실하지 않던 정운찬 국무총리가 발사 1시간 전 헬기를 타고 나로우주센터를 방문하기도 했다.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이근영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선임기자
때론 현미경으로 과학, 과학자의 속살을 들여다보고 때론 멀리서 망원경으로 방관하는 문과 출신 과학기자. 과학과 대중의 소통과 과학기자의 역할에 관해 연구 중.
이메일 : kylee@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

    뉴스사이언스온 | 2017. 12. 11

    미래/과학/기술/환경 뉴스와 비평, 연재물 서비스사이언스온 옛 글들은 지금처럼 접근 가능합니다 독자님들께안녕하세요. 그동안 작은 도전이었던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의 필자들을 격려해주시고 또 웹진을 사랑해주신 모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

  • “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

    뉴스오철우 | 2017. 11. 07

    특정 언어사용패턴과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발현 사이에 ‘상관성’“무의식적 언어패턴이 의식적 자가보고보다 측정정확도 더 높아” 일상언어 사용의 패턴이 말하는 이 자신도 잘 모르는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

  • 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

    뉴스오철우 | 2017. 11. 07

    ※ 이 글은 한겨레 11월6치 '미래&과학' 섹션 지면에 실렸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분량을 줄이기 이전 원고를 사이언스온에 올립니다.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꿔치기[미래&과학] 주목받는...

  • ‘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

    뉴스오철우 | 2017. 11. 03

    수학적 모형 분석 논문 ‘눈길’세포간 경쟁과 선택, 노화와 암의 ‘딜레마’ 같은 상호관계 다뤄‘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노화를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노화를 일정 정도 늦출 순 있어도 멈출 순 없다는 ...

  • 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

    뉴스오철우 | 2017. 10. 26

    시토신-구아닌 쌍을 티민-아데닌 쌍으로 ‘점 수정’ 이어아데닌-티민 쌍을 구아닌-시토닌 쌍으로 수정기법 개발하버드대학 리우 교수와 MIT 펑 장 교수 각각 성과 발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디엔에이(DNA) 두 가닥을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