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물방울이 또르르..‘연꽃잎효과' 나노입자 관심집중

  카이스트 양승만 교수팀 '안게반테 케미' 4월호 표지논문 게재

 “자기조립 공정 경제적”.. 네이처 등 주목할 연구’로 소개

  그림3 » 물 위에 뜬 물방울. 연꽃잎 나노구조를 가진 미세입자를 물 표면에 뿌려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물을 뿌리면 물방울이 맺혀 물 위에 떠 있다.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실린 그림.

 

국내 연구팀이 물방울이 맺히지 않는 연꽃잎을 모방한 나노구조 입자를 제조하는 데 성공해, 세차가 필요없는 자동차, 김이 서리지 않는 유리, 비에 젖지 않는 섬유 등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Angewandte양승만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24일 연꽃잎 표면의 나노구조를 비슷하게 흉내낸 균질한 미세입자를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성과는 독일에서 발간되는 화학 학술지 <안게반테 케미> 4월호 표지논문(오른쪽 사진)으로 실리며 ‘브이아이피(VIP) 논문’으로 선정됐다. 또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는 연구팀의 논문을 25일치(현지시각) ‘뉴스와 논평’ 난에 ‘표면과학: 물방울로 만든 구슬’이라는 제목으로 소개했으며,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호는 ‘주목할 연구’로 해설과 함께 실었다.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에 동시에 '주목받는 연구'로 소개되는 매우 드문 일이다.

 

연꽃잎은 맨눈으로는 매끈한 것처럼 보이지만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돌기가 산봉우리처럼 돋아 있고, 그 봉우리에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규모의 돌기가 오돌토돌하게 배열돼 있다. 이런 구조로 연꽃잎은 물을 거부하는 ‘초소수성’을 지녀, 물방울을 그대로 흘려보내며 먼지를 쓸어내는 자기세정 효과를 나타낸다. 흙탕물 속에서도 연꽃잎이 깨끗하고 아름다운 것은 이런 ‘연꽃잎효과’(Lotus Effect) 때문이다.

  그림1 » 연꽃잎의 나노구조를 생체모방한 미세입자 제조 공정 모식도. 양승만 카이스트 교수 제공

 

많은 연구자들은 연꽃잎의 나노구조를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해왔지만 연꽃잎효과를 지닌 실용성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우선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유리구슬들을 빛에 민감한 감광성 액체 속에 넣어 분산시켜 크기가 수십 마이크로미터인 균일한 액체방울을 만들었다. 이 액체방울을 물에 넣어, 물-감광성 액체-유리구슬 사이의 표면화학적 힘의 균형을 유지시키면 유리구슬은 저절로 감광성 액체방울 표면 위에 촘촘하게 육방형 밀집구조로 배열된다. 여기에 자외선을 쬐어 굳히면 수천개의 유리 나노구슬이 박인 입자를 얻는다. 다음 불산(플루오린화 수소산·HF)으로 유리구슬을 녹여내면 골프공처럼 분화구가 촘촘히 파인 미세입자가 생긴다. 여기에 고에너지의 플라스마를 쬐면 분화구가 깊게 깎이면서 연꽃잎 나노구조가 형성된다.

 

양승만교수연꽃잎 효과를 나타내는 미세입자는 세차가 필요없는 자동차, 스스로 세정하는 페인트, 비나 눈물에 얼룩이 지지 않는 화장품 등의 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 화학·바이오센서 등의 마이크로 분석소자, 물 위를 걸을 수 있는 마이크로로봇, 엘시디 차세대 대형 디스플레이 코팅 기술로도 사용될 수 있다.

 

양승만 교수(왼쪽 사진)는 “그동안 나노 식각공정을 사용해 평판 위에 연꽃잎효과를 구현한 연구결과는 보고된 바 있다”며 “그러나 나노구슬이 스스로 구조를 형성하는 자기조립 원리를 이용한 것은 처음인 데다 제조공정이 쉽고 빨라 경제적이라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인쇄
  • 메일
이근영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선임기자
때론 현미경으로 과학, 과학자의 속살을 들여다보고 때론 멀리서 망원경으로 방관하는 문과 출신 과학기자. 과학과 대중의 소통과 과학기자의 역할에 관해 연구 중.
이메일 : kylee@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알림] 사이언스온이 미래&과학으로 바뀝니다

    뉴스사이언스온 | 2017. 12. 11

    미래/과학/기술/환경 뉴스와 비평, 연재물 서비스사이언스온 옛 글들은 지금처럼 접근 가능합니다 독자님들께안녕하세요. 그동안 작은 도전이었던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의 필자들을 격려해주시고 또 웹진을 사랑해주신 모든 독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

  • “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언어사용 패턴은, 몸의 스트레스 보여주는 지표”

    뉴스오철우 | 2017. 11. 07

    특정 언어사용패턴과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발현 사이에 ‘상관성’“무의식적 언어패턴이 의식적 자가보고보다 측정정확도 더 높아” 일상언어 사용의 패턴이 말하는 이 자신도 잘 모르는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

  • 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꾼다

    뉴스오철우 | 2017. 11. 07

    ※ 이 글은 한겨레 11월6치 '미래&과학' 섹션 지면에 실렸습니다. 지면 편집 과정에서 분량을 줄이기 이전 원고를 사이언스온에 올립니다. 편집 과정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정교해진 유전자가위염기 하나만 바꿔치기[미래&과학] 주목받는...

  • ‘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 수학적으로’

    뉴스오철우 | 2017. 11. 03

    수학적 모형 분석 논문 ‘눈길’세포간 경쟁과 선택, 노화와 암의 ‘딜레마’ 같은 상호관계 다뤄‘노화는 불가피하다. 논리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노화를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노화를 일정 정도 늦출 순 있어도 멈출 순 없다는 ...

  • 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염기 하나만 바꾸는 단일염기 수정기법의 '확장'

    뉴스오철우 | 2017. 10. 26

    시토신-구아닌 쌍을 티민-아데닌 쌍으로 ‘점 수정’ 이어아데닌-티민 쌍을 구아닌-시토닌 쌍으로 수정기법 개발하버드대학 리우 교수와 MIT 펑 장 교수 각각 성과 발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디엔에이(DNA) 두 가닥을 ...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