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 그거 먹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 전문 출판사 반니출판사에서 일하는 초보일꾼 '활짜'입니다:)
오늘 새로 나온 과학책 1권을 소개할까 합니다.


혹시 '양자역학'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세상의 기초를 사유하고자 한다면, 누구나 양자역학을 만나야 한다.”
- 이강영(경상대 물리교육과 교수)

 

이런 어려운 말까지 들먹이지 않더라도 우리 일상 속에는 양자역학과 관련한 것들이 무척 많답니다^^

 

사실 저도 과학에 '과'자만 들어도 호흡이 가빠지는 평범한 1인인데요,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라는 인류의 오래된 질문에 답하는 석학들의 이야기가 참 재밌긴 하더군요. <퀀텀스토리>는 현대 물리학 아니 현대 과학의 거의 모든 영역에 두루 영향을 미치고 있는 양자역학의 지난 100년사를 다룬 책입니다.

 


코펜하겐 해석, 슈뢰딩거의 고양이, 표준모형... 어디서 들어본 것 같긴한데 뭐라 말하긴 애매한 단어들...
보어, 아인슈타인, 신이치로, 파인먼, 플랑크, 파울리... 역시 뭔가 눈에 익은 이름들인데 얼굴은 떠오르지 않는 과학자들...^^ 저는 과학의 역사는 곧 인류 진보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기회에 뉴튼 이후 태동한 현대 물리학의 기원과 전개를 한눈에 조망해보시는 것은 어떠세요? 

 

<퀀텀스토리>에서 지난 100년 동안 과학의 최전선 양자역학 분야에서 종횡무진했던 위대한 석학들의 고민과 실험을 만나보세요:)

 

 

퀀텀스토리

짐 배것 | 박병철 옮김

반니 2014.01.15

 

책정보:)
http://book.interpark.com/product/BookDisplay.do?_method=detail&sc.shopNo=0000400000&sc.prdNo=213787047&bid1=search&bid2=product&bid3=title&bid4=001

 

반니 블로그:)

http://blog.naver.com/bannibooks

 

반니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bannibook?fref=ts

 

 

추천사

 

양자역학의 미래를 바꿨던 중요한 에피소드를 엄선하여 역사적, 사회적 관점에서 조명한 흥미로운 책이다. 1900년에 발표된 막스 플랑크의 양자가설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초전도이론과 초끈이론에 이르기까지, 양자역학과 관련된 모든 분야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 앤서니 레깃(물리학자, 200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20세기 최고의 화두를 던지면서 전대미문의 성공을 거둔 양자역학. 그 파란만장한 역사를 흥미로운 책으로 엮어냈다. 내용이 분명하고 이해하기 쉬우면서 흥미로운 정보가 가득하다. 현대물리학의 혁명을 주도했던 위대한 석학들의 뒷이야기도 흥미진진하다. - 피터 앳킨스(옥스퍼드대 물리화학 교수)

 

양자역학이 태동하여 모습을 갖춰 나가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한편, 물질의 기본 구조와 우주를 이해하는 데 적용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양자역학의 모습과 활약을 담은 40가지 장면을 담은 한 편의 파노라마다. … 정교한 논리로 구축되어 우주와 물질을 설명하는 데 성공적으로 적용되는 양자역학의 역할과, 그 실체와 의미를 우리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게 만드는 양자역학의 문제들을 모두 소개하고 있다. - 이강영(경상대 물리교육과 교수)

  • 구글
  • 카카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 중단 안내 사이언스온 2020-09-15 246337
113 빛보다 빠른물질 왜 이해할수 없는 것일까 gber20 2014-01-15 45289
» "양자역학, 그거 먹는건가요?" image [1] heshetory 2014-01-10 36937
111 고사 성어와 4자 성어 어느것이 맞나요? mrgeem 2014-01-06 36305
110 브릭이 뽑은 '국내 의생물학 분야 2013년 올해의 뉴스' image 사이언스온 2013-12-20 65015
109 피타고라스정리에서 외계인을 발견하다 [1] gber20 2013-12-18 40543
108 인체 모든 기관을 조절하는 뇌 sanchna1 2013-11-19 35624
107 왜 힉스 힉스장 이해하기 어려운가 gber20 2013-11-01 31662
106 의식의지 충격적 비밀풀어 너무나 충격적 gber20 2013-10-07 37273
105 힉스 괴현상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gber20 2013-09-06 52710
104 힉스 초딩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방법을 찻았다 [4] gber20 2013-08-23 37385
103 뇌과학과 양자역학을 엮으며 gber20 2013-08-10 37659
102 대학원생/연구개발직(생물) 설문조사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3-07-26 31584
101 뇌과학과 평행우주론의 연관성 [2] gber20 2013-07-25 34950
100 뇌과학을 우주론과 엮는다 gber20 2013-07-16 31355
99 '과학관에서 1박2일' 과천과학관 행사 접수 imagefile 사이언스온 2013-07-15 28740
98 질량은 평행우주를 붕괴 시킨다 gber20 2013-07-01 35522
97 힉스 우주탄생의 비밀풀어 gber20 2013-06-26 32805
96 힉스입자가 암흑물질이였다 gber20 2013-06-19 31943
95 문진아카데미, 1기 수강생 모집 (과학커뮤니케이션) 사이언스온 2013-06-18 29830
94 힉스 두종류로 나타난 이유(힉스 최종 결론) [3] gber20 2013-06-08 30611
자유게시판 너른마당

인기글

최근댓글

트위터 팔로우

sub2 untitled